직방, 조사 자료 발표…하락 이유로 '금리 인상 부담 탓' 답변이 절반 이상
매매가 상승 예상한 이들은 규제 완화에 기대 걸어
한 부동산 중개 서비스 플랫폼이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10명 중 8명은 올해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직방은 2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도 주택시장 전망' 자료를 발표했다. 지난달 12일부터 26일까지 자체 앱을 이용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모바일 설문을 진행한 결과다.
이번 자료에 따르면 응답자 3천89명 가운데 77.7%가 올해 거주 지역의 주택 매매가가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상승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10.2%에 그쳤다. '보합'이라는 답변은 12.1%를 기록했다.
거주지역별로 나눠 보면 서울(81.5%)과 지방 5대 광역시(80.7%) 거주 응답자들이 '하락'을 전망하는 응답 비율이 80% 이상이었다. 또 경기(74.8%), 인천(76.2%), 지방(75.3%)은 70%대를 보였다.
올해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담'이라고 답한 이들이 58.2%로 절반을 웃돌았다. 그 다음으로는 ▷경기 침체 지속(19.5%)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16.4%) 등의 순이었다.
직방 측은 "응답자 대다수가 작년과 같이 금리 인상에 따른 부담과 경기 침체를 우려하고 있었다"며 "현재 부동산 가격 수준이 높다고 인식하는 응답도 10% 이상이었다"고 했다.
반면 주택 매매가격이 상승한다고 전망한 이유로는 '정부 규제 완화 기대'(25.1%)를 가장 많이 꼽았다. 재건축, 재개발 정비사업, 보유세, 대출, 규제 지역 등의 규제가 완화되면서 추가 대책이 나오고 그 효과가 나타날 것이란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다는 게 직방 측 분석이다.
이어 ▷경기 회복 기대(17.5%) ▷금리 인상 기조 둔화 기대(15.6%) ▷전·월세 상승 부담으로 인한 매수 전환(15.2%) ▷교통, 개발 계획 등 호재(12.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거주 응답자는 '정부 규제 완화'를 가장 많이 선택했고, 지방 5대광역시와 지방 거주 응답자는 '경기 회복 기대'를 가장 많이 응답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정치 보복' 않겠다는 이재명…"제 인생에 보복한 적 없어"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김수현, 악플러들 고소했다…"앞으로도 법적 조치 할 것"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