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식 선제타격' 언급한 푸틴…연일 핵위협, 확전 가능성 키우나

입력 2022-12-10 21:36:21 수정 2022-12-10 22:20:20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모스크바에서 국가안보위원회 화상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이번 회의는 지난 5일 국경에서 최대 720km 떨어진 러시아 군사시설에 드론 공습이 연속적으로 발생한 데 따른 것이다.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모스크바에서 국가안보위원회 화상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이번 회의는 지난 5일 국경에서 최대 720km 떨어진 러시아 군사시설에 드론 공습이 연속적으로 발생한 데 따른 것이다.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미국의 선제타격 개념을 언급하며 핵무기 사용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동안 갈등 상황에서 핵무기를 먼저 사용하지는 않겠다는 러시아의 기존 입장이 바뀐 셈이어서 우려가 나온다.

9일(현지시간) AFP·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키르기스스탄 수도 비슈케크에서 열린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정상회의 기자회견에서 핵무기 사용 여부에 대한 질문에 "미국은 선제타격의 개념을 갖고 있고, 무장해제 타격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자국 안보를 위한 미국의 이런 개념을 채택하는 것을 생각해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무장해제 타격은 상대방이 보유한 핵무기 등 위협을 제거하거나 무력화하기 위해 선제적인 공격에 나서는 것을 말한다.

푸틴 대통령은 "잠재적인 적이 선제타격의 개념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반면 우리는 그렇지 않고 있다"면서 "이런 타국의 방어태세가 우리에게 어떤 위협을 미칠지 생각하게 될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선제타격은 지휘 시설 파괴를 의도이며, 러시아의 순항미사일과 극초음속 시스템은 미국보다 더 현대적이고 더 효율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푸틴 대통령이 이틀 전인 지난 7일 "만약 핵무기를 어떤 상황에서도 맨 처음 사용하지 않겠다고 한다면, 이는 두 번째로 사용하는 것도 불가능하다는 의미"라고 말한 것과 궤를 같이하는 발언이다.

당시 그는 "우리 영토가 (선제적) 핵 공격을 받으면 우리가 핵무기를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급격하게 제한될 것이기 때문"이라며 핵무기와 관련한 선제타격 개념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미 CNN은 "푸틴 대통령이 갈등 상황에서 핵무기를 먼저 사용하지는 않겠다는 러시아의 기존 독트린을 변경할 수 있음을 거듭 내비친 것"이라고 분석했다.

서방에서는 푸틴 대통령이 거듭 핵무기 카드로 엄포를 놓으며 확전 가능성을 키우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은 노르웨이 공영방송 NRK 인터뷰에서 "잘못하면 끔찍한 일이 벌어질 수 있다. 우크라이나에서의 전쟁이 나토와 러시아 사이 전면전으로 나아갈 수도 있다"고 경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