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올해 연봉총액 127억 6천395만원 구단 중 2위, 조정 불가피
KBO는 2023년부터 2025년까지 적용되는 샐러리캡(선수 지급 금액 상한액)을 14일 발표했다. 이 기간 KBO 리그 각 구단의 샐러리캡은 총 114억2천638만원이다.
KBO는 리그 전력 상향 평준화와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지난 2020년 1월 21일, 2023년부터 적용되는 샐러리캡 조항을 신설했다.
2021, 2022년 외국인선수와 신인선수를 제외한 각 구단의 소속선수 중 연봉(연봉, 옵션 실지급액, FA 연평균 계약금 포함) 상위 40명의 금액을 합산한 구단의 연평균 금액의 120%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샐러리캡이 설정됐다.
샐러리캡은 2023년부터 2025년까지 적용되며, 이후 상한액은 물가 상승률 등을 반영해 조정될 수 있다.
샐러리캡을 초과해 계약하는 경우, 1회 초과 시 초과분의 50%에 해당하는 금액을 제재금으로 납부 해야 한다. 2회 연속하여 초과 시는 초과분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제재금으로 납부해야 하며 다음 연도 1라운드 지명권이 9단계 하락한다.
3회 연속하여 초과 시에는 초과분의 150%에 해당하는 금액을 제재금을 납부해야하고 다음연도 1라운드 지명권이 9단계 하락한다.
2022년 연봉 총액을 살펴보면 '통합우승'을 차지한 SSG랜더스가 248억7천512만원으로 구단 중 가장 높다. 샐러리캡의 두배 이상의 금액이지만 4년 최대 151억원에 계약한 김광현의 2022년 연봉을 81억원으로 책정하는 등 다년 계약 선수의 첫 시즌 연봉을 높게 정해, 2023년 연봉은 크게 떨어질 수 있다.
구단 중 연봉 총액이 두번째로 높은 삼성라이온즈 역시 2022년 연봉 총액(127억6천395만원)이 2023년부터 적용하는 샐러리캡을 넘기때문에 제재금을 감수하거나 연봉 총액을 줄여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임기 못 마치고 떠나 시민께 송구…대선 승리해 금의환향하겠다"
박은정, 315일 전 尹에게 받은 난 키워 '파면 축하 난'으로 선물
홍준표, 시장직 사임 "尹 억울함 풀 것, 임기 못마쳐 죄송"
한동훈, 출마 선언…이재명 겨냥 "괴물정권 탄생 막아야"
尹 만난 이철우 "주변 배신에 상처받아…충성심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