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기물 관리 의혹 진상 규명 요구…걸쭉한 슬러지 형태로 버려
"한동안 사고 갱도 옆에 투기"…경찰, 광미 처리 방식 등 조사 중
광산 업체 측 "회사에서 그렇게 한 적 없어… 수사에서 판명날 것"
경북 봉화 광산 붕괴사고에서 구조된 작업자 박정하 씨가 "이번 사고에서 쏟아진 토사가 광산 폐기물인 '광미'와 물이 섞인 것"이라고 주장하며 철저한 진상 규명을 요청했다.
8일 전화 인터뷰에서 박 씨는 "(사고가 난 광산에서)2019년부터 일했는데 업체가 사고가 난 갱도인 '제1 수직갱도' 옆에 있는 다른 폐갱도에 광산 찌꺼기인 광미를 버려왔다"며 "고운 모래 형태인 광미를 붓고, 광미가 굳어 부을 수 없으면 거기다 물을 넣어 내려가게 했다. 공간이 생기면 또 광미를 붓고, 물을 붓곤했다"고 설명했다.
박 씨의 주장에 따르면 물에 섞여 걸쭉해진 슬러지 형태의 폐기물이 광부들이 작업하던 곳으로 쏟아져 내려 이번 사고가 발생했을 수 있다는 추측이다.
현행 법규와 지침에 따르면 광미는 지정된 장소(광미장)에 버려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 다만, 폐갱도에 매립하는 것이 불법은 아니지만, 차단막 등 안전조치가 미흡해 쏟아지거나 다른 갱도를 따라 흘러들어 가 사고가 발생하면 법적 책임을 져야 한다.
게다가 광미 문제는 지난해 한 내부 고발자가 청와대 국민신문고에 '광산 운영 업체 측이 1만 톤(t)이 넘는 광산 폐기물을 매립했다'고 주장하며 폭로한 바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 7일부터 합동감식 등 본격적인 수사에 들어간 경찰도 이러한 부분에 수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경북경찰청은 산업통상자원부 등과 시행한 현장 합동감식에서 사고 현장 내 토사를 채취해 국립과학수사원과 한국광해광업공단에 성분 분석을 의뢰했다.
경찰은 업체의 광미 처리 방식이 규정대로 지켜졌는지 들여다보고 있고 구조된 광부들에 대한 기초적인 참고인 조사가 완료되면 업체 측 관계자를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광산 업체 관계자는 "회사에서는 그렇게 한 적일 없고 연대 미상의 펄인 줄 알고 있다"며 "(광미 처리에 대한 사안은)일부 광부들이 주장하는 것일 뿐이고, 수사과정에서 판명이 날 것"이라고 해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