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이태원 압사 참사' 합동분향소에 닷새째 조문을 이어간 윤석열 대통령을 겨냥해 "사과 한 마디 없다"고 지적했다.
정 최고위원은 4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어제까지 (윤 대통령이) 네 번째 분향소를 찾아갔다고 하는데 사과 한 마디는 없다. 참 이상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 최고위원은 과거 대규모 사상자가 나온 참사 때 역대 대통령들이 사과했던 사례를 언급했다.
그는 1993년 292명의 희생자를 낸 서해 훼리호 침몰 사고와 1994년 성수대교 붕괴 사고를 들며 "김영삼 전 대통령은 서해 훼리호 침몰 이틀 뒤 사고 현장을 찾아가 '국민께 진심으로 죄송하다'고 했고, 성수대교 붕괴 때 사흘 뒤 '국민 여러분께 많은 염려를 끼쳐 참으로 죄송하다'고 사과했다"고 했다.
이어 1999년 유치원생 19명 등 23명이 숨진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사고에 대해서도 "김대중 전 대통령은 합동분향소를 찾아 '대통령으로서 미안하다'며 진상 규명해 책임자 처벌을 약속했다"고 했다.
또 "노무현 전 대통령은 취임 이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합동분향소 찾아 희생자 가족과 국민께 머리 숙여 사과했다"고 짚었다.
2014년 진도 인근 해상에 침몰한 세월호 참사에 대해서는 "박근혜 전 대통령은 세월호 때 14일을 버티다 성의 없는 사과한 바 있다"며 "윤 대통령은 과연 언제까지 버티고 사과를 안 할지 국민은 지켜보고 있다. 이리저리 머리 굴리지 말고 즉각 사과하는 것이 인간적 도리가 아닐까 생각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 의원은 현재 수사 방향이 현장 실무자들에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는 의혹을 들어 "책임자, 지휘권과 명령권을 가진 사람들이 1차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은 과연 언제까지 버티고 사과를 안 할지 국민들은 지켜보고 있다"며 "이리저리 머리 굴리지 마시고 즉각 사과하는 것이 인간적인 도리"라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