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물가 5.7% 상승…전기·가스요금 인상에 석달 만에 상승폭 확대

입력 2022-11-02 16:28:27

전국, 석 달 연속 5%대 물가 상승률
대구도 석 달 연속 5%대 상승률 기록
경북은 석달 연속 6%대 상승률 보여
당분간 고물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돼

대구경북 2022년 10우러 소비자물가 동향. 동북지방통계청 제공
대구경북 2022년 10우러 소비자물가 동향. 동북지방통계청 제공

물가 상승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석 달 연속 5% 중후반대를 기록, 물가와의 전쟁이 장기전에 돌입할 태세다. 지난달 대구경북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5% 후반에서 6% 중반을 기록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9.21(2020년 100기준)로 작년 10월보다 5.7% 상승했다. 물가 상승률은 6월 6.0%, 7월 6.3%까지 오른 뒤 8월 5.7%, 9월 5.6%로 조금씩 낮아지다 석 달 만에 다시 상승 폭이 커졌다.

대구와 경북은 7월 이후 상승 폭이 조금 줄었으나 여전히 상승률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대구는 7월 6.5%에서 8월 5.9%로 물가 상승률이 낮아지긴 했으나 9월과 10월 각 5.8%를 기록하는 등 석 달 연속 5% 후반대를 기록했다.

경북의 물가 상승률도 마찬가지 흐름을 보였다. 7월(7.4%)보다는 8월(6.5%)에 상승 폭이 줄었으나 9월 6.3%, 10월 6.4%를 기록하는 등 6%가 넘는 물가 상승률을 석 달 연속 유지했다.

올해 물가 고공 행진을 이끈 석유류 가격의 상승세는 한풀 꺾였다. 6월 39.6%까지 올랐던 석유류 가격 상승세는 점차 둔화돼 지난달엔 10.7%를 기록했다. 하지만 석유류 가격 인상분을 제때 반영하지 못했던 전기·가스요금이 지난달 인상되면서 석유류 가격 상승세가 둔화된 효과를 상쇄했다.

지난달 전기·가스·수도는 23.1% 오르면서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10년 10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국내 전기요금은 지난달부터 1킬로와트시(㎾h)당 7.4원 올랐고, 민수용(주택용과 일반용) 도시가스 요금 역시 메가줄(MJ)당 2.7원 인상됐다.

석유류(10.7%), 가공식품(9.5%) 등 공업제품 가격은 평균 6.3% 올랐다. 휘발유(-2.0%)는 올해 들어 처음으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하락했으나 경유(23.1%)는 여전히 상승세를 이어가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달 대구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10월에 비해 6.7% 올랐고 신선식품지수 상승률은 13.8%를 기록했다. 경북 경우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6.7%, 신선식품지수 상승률은 14.8%로 나타났다.

통계청 관계자는 "석유류 등 공업제품과 농축수산물 가격 오름세는 둔화했다. 하지만 전기·수도·가스요금 오름 폭이 커지면서 상승 폭도 확대됐다"며 "전체 물가 상승률이 6%대로 올라가진 않으리라 기대하는 상황이어서 7월 상승률(6.3%)이 정점일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석 달 만에 물가 오름 폭이 확대된 점, 5% 후반대인 물가 상승률은 정부와 시장 모두에게 부담스러운 소식이다. 물가 상승세가 점차 둔화한다 해도 상당 기간 높은 수준의 물가가 지속될 거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국은행 역시 내년 1분기까지 5%대의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