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태원 참사로 인한 외국인 사망자와 관련해 우리 국민과 동일한 수준의 지원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31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전체회의에 출석한 박진 외교부 장관은 외국인 사망자의 장례지원, 보상, 위로금 등과 관련해 "외국인 사상자도 우리 국민에 준해서 가능한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박 장관은 또 "외교부 공무원과 사망자를 1대 1로 매칭 지정해 유가족과의 연계 등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다"며 "유가족의 입국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해당 지역 내 우리 공관을 통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 장관은 이날 기준 이태원 참사로 인한 외국인 사망자는 26명, 부상자는 15명이며 부상자 가운데 14명은 귀가했고 1명이 병원에서 치료 중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이날 회의에 출석한 권영세 통일부 장관은 윤석열 정부의 대북 정책인 '담대한 구상'과 관련해 "북한이 비핵화의 결단을 내리고 대화의 장으로 나온다면 '담대한 구상'을 통한 정치·경제적 지원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북한의 잇따른 군사도발과 관련해선 "북한은 우리의 제의에 호응하지 않고 오히려 도발을 지속하며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며 "이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중대한 위반이자 남북이 합의한 '판문점 공동선언'과 '평양 공동선언'에도 정면으로 위배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한편 이날 외통위는 국민의힘 간사로 탈북민 출신의 태영호 의원을 선임했다. 앞서 간사를 맡았던 김석기 의원(경주)은 지난 8월 당 사무총장에 임명되면서 간사직까지 병행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전해졌다.
회의 시작에 앞서 여야 외통위원들은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을 위해 묵념의 시간을 갖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