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상위 10% 소득 113조…대구 전체의 2배"

입력 2022-10-24 07:30:59

강준현 "지방 소멸 막기 위한 강력한 지역균형발전 정책 필요"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경. 자료사진 연합뉴스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경. 자료사진 연합뉴스

서울의 소득 상위 10%가 벌어들인 소득이 대구 전체 소득보다 두 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상위 10% 소득은 전국 17개 시도 중 경기도를 뺀 다른 지역의 전체 종합소득보다 많았다.

2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지역별 종합소득 10분위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서울에서 종합소득 상위 10%에 해당하는 18만1천595명이 신고한 소득은 총 122조6천억원이었다. 이는 전국 전체 종합소득(1천159조8천억원)의 10.6%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총액 기준으로 부산 전체 소득(79조8천억원)은 물론 인천(66조8천억원), 대구(62조6천억원), 광주(29조8천억원), 대전(29조2천억원) 등 다른 광역시의 소득보다 많다.

경남(67조6천억원), 경북(44조3천억원), 충남(38조9천억원), 전북(35조2천억원), 전남(30조원), 충북(28조8천억원), 강원(26조1천억원) 등 경기(314조원)를 제외한 다른 도의 소득도 웃돌았다.

인천(48만5천89명)이나 부산(47만834명), 경남(41만3천434명)의 경우 소득 신고 인원이 서울 소득 상위 10% 인원(18만1천595명)의 2배가 넘었는데도 소득은 서울 상위 10%에 미치지 못했다.

서울의 소득 상위 10%의 1인당 평균 소득은 6억7천500만원이었다. 신고 인원 비중으로는 2.3%를 차지했다.

수도권으로 소득이 집중되는 현상은 이어지고 있다.

서울·경기·인천이 전체 종합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55.3%에서 2020년 55.7%로 소폭 커졌다.

강준현 의원은 "종합소득의 수도권 지역 집중 현상은 인구뿐만 아니라 생활과 복지 등 각종 인프라가 수도권에 집중된 것과도 깊은 연관성이 있다"며 "지방소멸의 위기를 막기 위해서라도 정부가 지방지역 소득향상을 포함한 강력한 지역 균형발전 정책을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