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만에 '기준금리 3%'…오늘 오전 9시 금통위서 '빅스텝' 유력

입력 2022-10-12 08:06:30

금리 인상 시 올해 4, 5, 7, 8월 이어 한은 사상 처음으로 다섯차례 연속 인상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12일 오전 9시 열리는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2.5%인 기준금리를 3.0%로 0.5%p 올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12일 오전 9시 열리는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2.5%인 기준금리를 3.0%로 0.5%p 올리는 '빅 스텝'을 단행할 것이 유력하다. 예상대로 빅 스텝이 이뤄지면 2012년 10월 이후로 10년 만에 기준금리가 3%대를 기록하게 된다. 사진은 이날 서울의 한 은행 앞 현수막. 연합뉴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12일 오전 9시 열리는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2.5%인 기준금리를 3.0%로 0.5%p 올리는 '빅 스텝'을 단행할 것이 유력하다. 예상대로 빅 스텝이 이뤄지면 2012년 10월 이후로 10년 만에 기준금리가 3%대를 기록하게 된다. 또 앞서 4, 5, 7, 8월에 이은 다섯 차례 연속 금리인상도 한은 사상 최초 기록이다.

시장과 전문가들이 이처럼 이례적 기준금리 줄인상과 역대 두 번째 빅 스텝에 무게를 두는 것은, 무엇보다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압력이 아직 심각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9월 소비자물가지수(108.93)는 작년 같은 달보다 5.6% 올랐다. 상승률은 8월(5.7%)에 이어 두 달 연속 낮아졌지만, 5%대 중반에서 크게 떨어지지 않고 있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한은 등은 물가 상승률이 가을 즈음 정점을 지나더라도 그 이후에도 크게 떨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실제로 그런 흐름이고, 여전히 물가 상승률이 매우 높은 수준인 만큼 빅 스텝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한국과 미국 간 기준금리 격차 확대와 이에 따른 환율·물가의 추가 상승 위험도 빅 스텝 전망의 중요한 근거다.

현재 한국(2.50%)과 미국(3.00∼3.25%)의 기준금리(정책금리) 격차는 최대 0.75%p인데, 금통위가 만약 이날 베이비 스텝(0.25%포인트 인상)만 밟고, 11월 초 연준이 다시 네 번째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인상)에 나서면 두 나라의 금리 차이가 1.25%p로 커진다.

이어 11월 말 금통위가 또 0.25%p만 올릴 경우, 연준이 12월 최소 빅 스텝만 결정해도 격차는 1.50%p에 이르게 된다. 1.50%포인트는 역대 최대 한미 금리 역전 폭(1996년 6월∼2001년 3월 역전 당시)과 같은 수준으로 이 경우 높은 수익률을 좆아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 가능성이 적잖다.

이날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하면, 미국과의 격차는 일단 0.00∼0.25%포인트로 좁혀진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연준이 9월 빠른 속도로 금리를 인상했고, 11월에도 그렇게 하겠다고 예고한 상황"이라며 "한은도 한미 금리 격차가 계속 커지는 것을 용인하지 않을 것"이라며 빅 스텝에 무게를 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