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정치하며 가장 잘한 일 文과 결별…김정은 가라는대로 가는 대리운전자"

입력 2022-10-05 18:26:14

당권 도전 의지를 밝힌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이 20일 오후 대구 중구 서문시장을 방문해 상인들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당권 도전 의지를 밝힌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이 20일 오후 대구 중구 서문시장을 방문해 상인들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5일 문재인 전 대통령을 겨냥해 "제가 지금까지 했던 정치적 결단 중에 가장 잘한 일은 문재인 전 대통령의 더불어민주당과 결별한 것임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고 밝혔다.

북한이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 도발을 감행한 전날 남북 대화 재개를 강조한 문재인 대통령을 비판한 발언이다.

안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문 전 대통령이) 10.4 공동선언 15주년 성명에서 '주변 강대국에 의존하며 종속되는 것'은 안 된다고 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여기서 주변 강대국은 어디냐. 미국에 한반도 위기의 책임을 돌렸다고 해석할 수밖에 없다"며 "한미동맹을 부인하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태롭게 하는 무책임한 발언이 아닐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문 전 대통령의 '한반도 운전자론'은 이미 '한반도 대리운전자론'으로 조롱받고 있다"며 "삶은 소대가리란 비아냥을 들으면서도 김정은이 가라는 대로 가는 운전자라는 것"이라고 맹비난했다.

그러면서 "결국 문 전 대통령의 10.4 공동선언 15주년 성명은 본인도 하지 못한 일을, ICBM이나 핵실험이 일어날 때 그 책임을 현 정부에 떠넘기려는 사전 작업 같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고 덧붙였다.

안 의원은 "저는 대한민국의 국익이 아니라 대한민국과 싸우는 세력에 맞서, 대한민국을 위해 싸우는 세력 편에 섰다. 이 싸움은 결단의 순간이 온다면 '북한에 굴복할 것인가'와 '북한과 싸울 것인가'에 관한 실존적인 문제"라며 "저와 문 전 대통령은 분명하게 다른 길을 선택했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전날 10.4 공동선언 15주년을 기념해 "지금 또다시 한반도 상황이 매우 불안하다. 흔들리는 세계 질서 속에서 주변 강대국의 각축이 심화되고 있고, 남북 간 대화 단절도 길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한반도 운명의 주인은 우리"라며 "주변 강대국에 의존하며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 철저히 국익과 평화의 가치를 우선하며 남북관계를 복원해 나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10.4 공동선언의 원대한 포부를 남북한이 함께 되새겨야 할 것"이라며 "북한은 미사일 도발을 중단하고, 모라토리움 약속을 지켜야 한다. 남북한 모두 더 이상 상황을 악화시키는 것을 멈추고 대화 모색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고 당부했다.

공교롭게도 이날 북한은 오전 7시 23분쯤 자강도 무평리 일대에서 중거리 탄도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도발을 감행했다.

다음은 안철수 의원 페이스북 글 전문.

<대한민국과 싸우는 세력에 맞서, 대한민국을 위해 끝까지 싸우겠습니다.>
어제 북한은 괌과 주일 미군기지를 겨냥해 중거리 탄도미사일을 쐈습니다.
북한은 핵무력 정책을 법제화하는 등 도발 강도를 계속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ICBM 발사와 7차 핵실험도 임박했다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중국의 대만 위협 속에, 북한도 대한민국을 향한 핵 위협을 노골화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핵무기 위협이 더 이상 엄포가 아닌 상황에서, 북한도 핵무기를 방어가 아닌 선제공격용으로 쓸 수 있다는 정책을 법으로 공식화했습니다.
북한이 비핵화 의지가 있다는 거짓 선동문구도 이제는 폐기해버리고 드디어 본색을 드러낸 것입니다.
이러한 북한의 도발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과 한미 당국은 압도적 대응과 강력한 응징을 경고 했습니다.
북한의 핵 협박에 더 이상 굴복하지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러시아의 침공에 결사항전하고 있는 우크라이나가 보여주듯, 어떤 위협에도 겁먹지 않는 지도자와 국민의 결연한 의지가 대한민국을 지켜낼 것입니다.
그런데 북한이 미사일을 쏜 바로 그 날, 문재인 전 대통령은 대한민국 대통령을 지낸 분이 맞나 싶은 메시지를 냈습니다.
10.4 공동선언 15주년 성명에서 '주변 강대국에 의존하며 종속되는 것'은 안 된다고 했습니다.
여기서 주변 강대국은 어디이겠습니까?
미국에 한반도 위기의 책임을 돌렸다고 해석할 수밖에 없습니다.
한미동맹을 부인하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태롭게 하는 무책한 발언이 아닐 수 없습니다.
또한 '한반도 운명의 주인은 우리'라고 했습니다.
도대체 문 전 대통령께서 말하는 우리는 누구입니까?
주변 강대국에 의존하며 종속되지 말자고 했으니 한미동맹은 아닌 것이 분명합니다.
그렇다면 절대로 핵을 포기하지 않으며 공격용 핵무기 사용을 법에 명시한 북한과, 그 북한의 뜻에 따르는 대한민국을 뜻하는 것입니까?
문 전 대통령의 '한반도 운전자론'은 이미 '한반도 대리운전자론'으로 조롱받고 있습니다.
'삶은 소대가리'라는 비아냥을 들으면서도, 김정은이 가라는대로 가는 운전자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북한은 모라토리움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하셨는데, 북한은 모라토리움(ICBM 및 핵실험 중지) 약속을 지켜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
비핵화 약속을 지켜야 하는 것입니다.
결국 문 전 대통령의 10.4 공동선언 15주년 성명은 본인도 하지 못한 일을, ICBM이나 핵실험이 일어날 때 그 책임을 현 정부에 떠넘기려는 사전작업 같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이 성명을 보면서 제가 지금까지 했던 정치적 결단 중에 가장 잘한 일은 문재인 전 대통령의 더불어민주당과 결별한 것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결별한 2015년 12월 13일 이후 저의 결단과 행동은 일관됐습니다.
대한민국의 국익이 아니라 대한민국과 싸우는 세력에 맞서, 대한민국을 위해 싸우는 세력 편에 선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이 싸움은 결단의 순간이 온다면 '북한에 굴복할 것인가?'와 '북한과 싸울 것인가?'에 관한 실존적인 문제입니다.
저와 문재인 전 대통령은 분명하게 다른 길을 선택했습니다.
누구의 선택이 옳은 지는 역사가 평가할 것입니다.
다시 한 번 분명하게 말씀드립니다.
저 안철수는 대한민국과 싸우는 세력에 맞서 국민과 함께 대한민국을 위해 끝까지 싸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