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2.8% 증가로 넉 달째 한 자릿수 증가 그쳐…수입은 18.6% 늘어
우리나라 무역수지가 6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무려 25년 만이다. 전월에 비해 적자 규모를 대폭 줄인 게 그나마 다행이었다.
2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9월 수출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2.8% 증가한 574억6천만달러, 수입은 18.6% 늘어난 612억3천만달러로 집계됐다. 이로써 무역수지는 37억7천만달러(약 5조4천213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무역수지는 지난 4월부터 적자가 계속되고 있다. 6개월 이상 연속 적자는 1995년 1월∼1997년 5월 이후 25년 넘게 없었던 일이다.
다만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지난 8월(94억9천만달러)과 비교해 상당폭(60.3%) 축소됐다.
대중 무역수지도 수출이 6억9천만달러 많아 5개월 만에 흑자로 전환됐다.
수출은 기존의 9월 최고 실적인 지난해 9월(559억달러) 대비 15억 달러 넘게 웃돌아 9월 최고 실적을 경신했다.
이로써 수출은 23개월 연속 증가세를 지속했으며, 작년 3월 이후 19개월 연속으로 해당 월의 역대 최대 수출액을 기록했다.
23개월 연속 수출 증가는 역대 3번째로 긴 기간이다.
다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와 세계 경기 둔화로 지난 6월 이후 4개월 연속(5.3%→8.7%→6.6%→2.8%) 한 자릿수 수출 증가율이 계속되고 있다.
품목별로 석유제품(52.7%)과 자동차(34.7%)는 9월 기준 역대 최고 실적을, 2차전지(30.4%)는 역대 최고 실적을 보였다.
선박(15.5%)과 차부품(8.7%) 수출도 늘어 15대 수출 주요 품목 가운데 5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반면 세계경기 둔화 등에 따른 수요 약세로 반도체(-5.7%), 무선통신(-7.0%), 석유화학(-15.1%) 등의 수출은 줄었으며 태풍 영향 등으로 철강(-21.1%) 수출은 21개월 만에 감소했다.
또 주요 수출국 9개 지역 가운데 미국(16.0%), 중동(9.1%), 인도(8.5%), 아세안(7.6%), 일본(2.5%) 등 5개 지역의 수출이 증가했다.
그러나 성장세 회복이 지연되는 중국과 에너지 수급 차질 등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가 확산 중인 유럽연합(EU)으로의 수출은 각각 6.5%, 0.7% 감소했다.
수입은 7개월 연속으로 600억달러대를 기록하며 높은 증가율(18.6%)을 유지했다.
지난달 3대 에너지원인 원유·가스·석탄 수입액은 179억6천만달러로, 작년 동월(99억1천만달러) 대비 81.2%(80억5천만달러) 증가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