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단골 '영풍제련소'…이번엔 '취수원 이전'으로 소환되나

입력 2022-09-15 18:14:34 수정 2022-09-15 20:36:58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안동댐·낙동강 상류 중금속 오염 원인으로 지목돼 국감장 잦은 호출
지난해 쉬어갔으나 대구 취수원 안동댐 이전 논의로 다시 주목
국회 환노위 김형동 의원, "영풍 측 국감장 불러 제련소 이전 따져 물을 것"

경북 봉화 소재 영풍석포제련소 전경. 매일신문 DB
경북 봉화 소재 영풍석포제련소 전경. 매일신문 DB

무방류 시스템 도입 등 환경 개선 노력으로 논란의 중심에서 비켜섰던 경북 봉화 소재 영풍석포제련소가 대구 취수원 안동댐 이전을 계기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10월로 예정된 국회 국정감사에 영풍그룹 관계자의 증인 출석 요구를 하려는 움직임까지 정치권에서 감지되고 있다.

1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형동(경북 안동예천) 국민의힘 의원은 환노위 국감장에 석포제련소를 운영 중인 영풍그룹 측 관계자의 증인 채택 여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최근 본지와의 통화에서 "석포제련소는 낙동강 최상류 지역에서 수십년간 운영되며 상류 주변은 물론 안동댐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중금속 오염의 원인이 됐다"면서 "환노위 국감장에서 제련소 이전 여부 등을 두고 질의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간 영풍그룹은 환노위 국정감사의 단골 손님으로 꼽혔다. 2014년 석포제련소발 환경 오염 논란이 불거진 이래 환노위 소속 의원들의 관심이 모기업인 영풍그룹 경영진으로까지 향했기 때문이다.

2017년을 전후한 시기부터는 안동댐 주변 왜가리 폐사 등에 대한 지역 환경단체의 지속적인 문제 제기로 경영진의 국감장 출석 요구가 잦았다. 수년간의 논란과 경북도의 조업정지 행정처분을 둘러싼 법정 공방, 환경부의 지도·점검 및 개선명령 등을 거치며 제련소 측은 공장 환경개선 작업에 열을 올린 바 있다.

그 결과 지난해에는 5월 제련소 용수 무방류 시스템을 가동하는 등 오염 방지에 힘써 국감장 출석 없이 한 해를 보낼 수 있었다.

이런 가운데 홍준표 대구시장 당선 이후 안동댐 물을 대구 식수원으로 이용하는 방안이 급물살을 탔고 안동댐 상류에 위치한 석포제련소가 다시 세간의 관심을 끌게된 것이다. 지역 시민단체들은 "안동댐은 낙동강 최상류에 위치한 석포제련소로 인해 카드뮴 등 발암성 중금속 물질로 오염됐다"며 대구시의 취수원 안동댐 이전 철회를 주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 영풍그룹 측은 "아직 국정감사와 관련해 어떤 연락을 받은 것도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다만 정치권 동향을 예의주시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그룹 측은 국감장에 나가더라도 이달 초 낙동강 상류의 깨끗한 물 환경 조성을 위해 추진한 지하수 차집시설 공사를 끝내는 등 환경개선 작업에 힘쓰고 있는 점을 강조할 전망이다.

지난달 말 대구시가 내놓은 안동댐 원수 정밀 분석 결과에서 유해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은 것은 물론 낙동강 해평취수장, 매곡의 원수보다 안동댐 물이 더 깨끗하게 나왔다는 점도 유리한 정황이라고 본다.

한편, 국회 국정감사는 내달 4일부터 24일까지 열리며 각 상임위는 조만간 국감 때 부를 증인 채택 작업에 돌입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