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해 포대 3천개 굴 속 보관…10군데서 단추 등 34점 수습
경산코발트광산유족회, "추가 유해 혼입여부 확인 등 후속조치 필요"
6·25전쟁 당시 군경에 의해 처형된 경산코발트광산 민간인 희생 현장 유해발굴 과정에 나온 흙더미에 대한 표준조사에서 희생자의 것으로 추정되는 사람뼈와 단추 등 34점이 확인됐다.

나정태 경산코발트광산유족회(이하 유족회) 회장은 "민간인 희생 현장인 경산코발트광산 수평2굴 유해발굴 현장에 쌓아 둔 흙포대 3천여개 중 표본조사를 한 10개 포대에서 당시 희생자들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골과 단추 등 모두 34점을 수습해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이하 진실화해위)에 전달했다"고 5일 밝혔다.
진실화해위는 지난 2007~2009년 1~3차 수평2굴 유해발굴 당시 나온 잔해와 흙 등을 3천여개 포대에 담아 이 굴 안에 보관해 왔다.

유족회는 이날 샘플 포대 이외 나머지 포대에서도 다수의 유골과 유품이 나올 가능성이 높은 만큼 추가 혼입 확인 등 후속 대책도 진실화해위에 요구했다.
진실화해위는 이번에 수습된 뼈와 단추 등에 대한 정밀 분석을 한 후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나머지 흙포대에 대한 유해 혼입 여부 확인 등 후속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경산코발트광산유족회는 그동안 경산코발트광산 갱도 내 추가 유해발굴 예산 등이 여의치 않자 진실화해위에 2007~2009년 1~3차 수평2굴 유해발굴 과정에서 나온 흙포대 3천여개에 대해 유해 혼입 여부를 확인한 후 절차에 따라 조속히 처리해 줄 것을 요구해왔다.
진실화해위는 지난 7월 24일 경산 유족회와 간담회를 열어 이 문제를 논의했고, 진실화해위 송상교 사무처장은 "이 흙포대 중 적정 샘플을 채취해 유해 혼입 여부를 확인하는 등 찜찜하지 않게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답변했다. (매일신문 7월 26일 보도)

한편, 경산코발트광산 민간인 희생사건은 6·25전쟁 때인 1950년 7~8월 경산, 청도, 대구, 영동 등지에서 끌려온 국민보도연맹원 및 요시찰 대상자들과 대구형무소에 수감돼 있던 재소자 중 상당수가 군경에 의해 처형된 것으로, 1기 진실화해위 보고서에는 1천800여 명, 유족회에서는 3천500여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007년부터 3년간 이곳에서 유해 520구를 발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