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우 前대통령과 정상회담…1990년 9월 한국과 수교 단행
퇴임 후에도 NGO 등 활동도
옛 소비에트 연방(소련)의 마지막 지도자인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사망했다. 향년 91세.
타스, 스푸트니크 통신 등에 따르면 러시아 중앙 임상병원은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이 오랜 투병 끝에 이날 저녁 사망했다"고 밝혔다.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서방에서는 '냉전체제 종식하고 동구권 민주화에 기여했다'고 평가 받지만, 정작 고국에서는 '동구권을 서방에 넘겨준 배신자'라는 혹평을 받는다.
1931년 러시아 남서부 스타브로폴에서 태어난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모스크바 국립대 법대를 졸업한 후 젊은 시절부터 공산당에서 활동하며 출세 가도를 달렸다.
그는 1985년 54세의 젊은 나이로 소련 공산당 서기장으로서 집권한 이래 전제주의적 사회주의 체제를 무너뜨린 페레스트로이카(개혁)와 글라스노스트(개방) 정책을 추진했다.
집권한 해에 곧바로 스위스 제네바에서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과 만난 그는 중거리핵전력조약(INF)을 체결하고, 아프가니스탄에 주둔하던 군대를 철수하는 등 군비 감축에 나섰다.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와 이듬해 동서독 통일을 사실상 용인해 냉전 해체의 주역으로 평가받는다. 민주화 시위가 동유럽 공산주의권 국가를 휩쓸 때 과거 이들 국가에 대한 무력 개입을 정당화한 브레즈네프 독트린을 폐기한 것이다.
특히 그해 12월 조지 부시 당시 미국 대통령과 몰타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2차 세계대전 이후 반세기 동안 계속된 냉전의 종식을 공식 선언했다. 이 같은 공로로 이듬해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노태우 전 대통령이 추진한 북방정책에 호응해 1990년 6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소련 정상으로서는 최초로 한국 정상과 만났고, 그해 9월 한국과 수교를 단행했다.
노 전 대통령과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이후에도 상대국을 방문해 경제 개발과 북한 문제 등을 논의했다.
다만 준비되지 않은 급진적 개혁이 결과적으로 경제적 혼란과 소련의 해체로 이어졌다는 지적도 있다. 냉전 말기 경제 침체에 체르노빌 사태까지 겹친 상황에서 섣불리 시장경제를 도입하면서 물가 급등과 마이너스 성장이라는 최악의 상황까지 벌어졌다.
1989년에는 소련의 초대 대통령이 되지만 1991년 8월 보수파의 쿠데타 이후 급격히 권력 기반을 잃었고, 보리스 옐친 러시아 대통령이 소련 해체를 주도하자 그해 12월 사임을 발표했다.
그는 퇴임 후 고르바초프 재단을 만들어 자신의 뜻을 펼치고자 했지만 옐친에 의해 연금 상태에 처해져 뜻을 이루기 어려웠던 것으로 알려졌다.
옐친을 꺾기 위해 1996년 다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으나 득표율은 미미했고, 이후 러시아에서 사민주의 정당을 이끌기도 했다.
그는 1993년 비정부기구인 국제 그린크로스를 설립해 국제적으로 환경보호와 전쟁난민구호 활동을 활발하게 펼쳤다.
최근에는 모스크바 외곽의 전원주택인 다차(dacha)에서 여생을 보내고 있던 것으로 전해졌다.
고인은 러시아 주요 인사들이 잠들어 있는 모스크바 노보드비치 공동묘지에 있는 아내 라이사의 옆에 묻힐 예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