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인한 수백㎜ 폭우…대심도 저류배수시설이 대안
대구시 "저류배수시설 비용 부담…침수 예측 및 대응 시스템 구축 예정"
서울시가 최근 내린 기록적 폭우를 계기로 대규모 지하 빗물 저장소(대심도 저류배수 시설)를 건설하기로 한 가운데, 대구시 추진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지난 8일과 9일 서울 등 수도권에선 이틀간 500㎜에 가까운 폭우로 도심 곳곳이 침수됐다. 수해가 잇따르자 서울시는 강남 등 상습 침수 구역에 대심도 저류배수시설을 건설하기로 했다. 빗물 저장소라고도 불리는 이 시설은 지하 40~50m 깊이에 설치한다. 수십만 톤(t)까지 저장이 가능해 침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대심도 저류배수시설의 효과는 이번 폭우를 통해 입증됐다. 서울시는 지난 2020년 양천구 신월동에 해당 시설을 설치했고, 이달 8, 9일 동안 이 일대에는 침수 피해가 없었다. 해당 시설은 최대 32만 톤(t)까지 빗물 저장이 가능해 시간당 95㎜의 폭우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관련, 대구도 기후변화에 따른 폭우 피해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 2010년 7월 내린 폭우로, 북구 노곡동 일대 주택 44채와 차량 96대가 침수‧파손됐다. 2020년에는 8월 7일부터 8일까지 이틀간 약 252㎜의 비가 내려 서구 비산동 주택과 내당동 지하의 한 교회가 침수됐다.
전문가들은 대구도 저지대 등 침수 우려 지역을 대상으로 대심도 저류배수 시설 도입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김해동 계명대 지구환경학과 교수는 "대구는 앞산과 팔공산으로 막혀 있어 강수가 적은 지역으로 구분되지만 서울처럼 정체전선 등 기후변화로 인한 폭우는 언제라도 겪을 수 있다"며 "대구는 분지라서 물이 빠져나가는 데 불리한 측면도 있다. 침수 피해 예방을 위해 대심도 저류배수시설을 하나의 방안으로 고려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대구시는 현시점에서 대심도 저류배수시설 도입 계획은 없다고 설명했다. 천문학적 건설 비용이 가장 큰 부담이다.
대신 대구시는 실시간 하수관로 수위 측정 시스템을 구축한다. 폭우 시 적정 수준을 넘어 침수가 우려될 때 자동으로 배수되는 빗물 펌프장을 설치한다. 지난 7월 설계 용역에 착수했고, 오는 2024년 시스템 구축을 완료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수위 측정 및 제어 시스템은 이전에 침수됐거나 민원이 잦았던 지역 130곳에 설치할 예정"이라며 "대심도 저류배수시설은 장기적인 과제로 봐야 하고, 내부적으로 시설 견학을 위해 서울에 가보자는 공감대가 만들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