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6월 제조업 생산은 하락, 수출입은 증가

입력 2022-08-08 17:19:54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전경. 매일신문 DB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전경. 매일신문 DB

대구경북의 제조업 생산이 내림세에도 수출입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발표한 '최근 대구경북 지역 실물경제 동향'에 따르면 지난 6월 제조업 생산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0.8% 감소했다. 업종별로 보면 전자·영상·음향·통신, 1차 금속 등이 감소했지만 기계장비, 자동차 부품이 증가하면서 감소 폭을 줄였다. 제조업 출하는 전년 동월 대비 3.4% 감소한 반면 재고는 16.7%나 증가했다.

여기에 지난달 제조업 업황 BSI(기업경기실사지수, 기준 100)는 68로 전월 대비 6포인트(p) 하락했다. 비제조업 업황 BSI는 73으로 전달에 비해 4p 올랐다.

6월 대형소매점 판매는 지난해 6월과 비교해 1.6% 늘었다. 업태별로 보면 백화점이 5.4% 증가했다. 대형마트는 3.3% 감소했다. 다만 승용차 신규 등록 대수가 20.7% 줄고, 6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1로 전월 대비 1p, 7월은 92로 전월 대비 9p 각각 하락했다.

6월 중 수출은 철강·금속, 전기·전자, 화학공업제품 등이 증가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8.6% 늘었다. 지역별로는 대구 34.6%, 경북 3.4% 증가했다. 수입도 중간재 등을 중심으로 23.1% 증가했다. 대구 67.1%, 경북 10.9% 증가했다.

무역수지는 16억7천만달러 흑자로 5월(19억9천만달러)에 비해 그 규모가 감소했다.

6월 취업자 수는 지난해 대비 7만6천명 늘었다. 고용률은 62%로 지난해보다 1.7%p 올랐다. 실업률은 2.3%로 1.2%p 떨어졌다.

6월 아파트 매매가격은 대구가 전달 대비 0.7% 하락했지만, 경북은 보합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전국은 0.1% 떨어졌다. 전세가는 대구가 1% 하락했지만, 경북은 0.2% 올랐다. 토지가격은 5월 대비 대구는 0.3%, 경북은 0.2% 각각 상승했다.

전월 대비 토지거래는 17.8%, 아파트 거래는 21.8% 각각 감소했다. 미분양 주택은 1만1천541가구로 전월 대비 644가구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