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국가감염병위기대응 자문위원장, 정부 경각심 촉구
소아사망 대해 "확진자 증가에 의한 것인지, 미접종에 의한 것인지 분석 필요"
"고위험군, 증상 있으면 미루지 말고 검사 받아야… 치료제 적기 복용 중요"
최근 코로나19 소아·청소년 사망 사례가 잇따른 가운데,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 자문위원장이 사망 사례 심층 분석과 어린이 예방접종 체계 점검을 주문하고 나섰다.
정기석 위원장은 8일 열린 제3차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자문위) 회의 결과 브리핑에서 "현재 유행상황을 분석해보면 기간 내 재감염 사례, 소아·청소년 사망 사례 보고가 확인되고 있다"며 "데이터 중심의 방역 정책 수립을 위해 관련 사례들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추가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오미크론 유행 이후 코로나19 소아·청소년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사망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면서 "예방 접종 희망 어린이들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예방 접종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준비를 하고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로 사망한 10세 미만 어린이는 누적 27명으로, 이 가운데 4명이 지난달 사망했다.
이에 대해 정 위원장은 "전체적인 모수가 늘어나면서 발생한 사망인지, 영·유아가 백신 접종을 하지 않았기 때문인지는 좀 지켜봐야 한다"며 "아직 케이스가 많지 않지만 자문위 소속 소아·청소년 감염내과 전문의들이 굉장히 우려하고 있어 정부가 보다 경각심을 가지도록 촉구했다"고 설명했다.
정 위원장은 코로나19 고위험군에게 적절한 시기에 치료제 처방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고위험군은 기침이 나거나 열이 나고, 코가 막히고 냄새를 잘 못 맡는 등 코로나19의 증상이 발견되면 즉시 검사를 받아야 한다"며 "증상 발생 첫날 약을 먹는 경우와 그 다음 날 복용하는 것은 효과가 많이 다르므로 최대한 빨리 약을 먹는 게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정 위원장은 먹는 치료제 처방률이 낮은 것에 대한 대책으로 환자가 다니는 병원에서 코로나19 처방을 받게 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먹는 치료제 처방에 제약이 될 수 있는 다른 질환 처방약을 더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다.
한편, 이날 투약이 시작된 코로나19 항체치료제 '이부실드'의 대상인 면역저하자의 규모에 대해 정 위원장은 "정부에 정확한 규모를 파악해달라고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어 "고도의 의료기술을 가진 의사들이 면역저하자들은 진료하고 있다. 의사들이 요구하면 이부실드를 처방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의료진이 투약 대상 여부를 판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