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들녘 "외국인 일손 반갑지만, 관리에 대한 항구대책 절실"
성주에서 22명 무단이탈 잠적, 영양에서는 지난해 11명 이탈했다가 1명 돌아와
전문성 부족·건강 이상 잦아 인력 대체 진땀
코로나19로 막혔던 외국인 계절근로자의 입국이 본격화하면서 일손 부족을 겪는 농촌에는 '단비'가 되고 있지만 잦은 이탈과 현장 지식 부족 등 부작용도 많아 이들을 '상시 일꾼'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장치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영주시에서 인삼·사과 농사를 하는 A씨는 수확을 돕던 외국인 근로자 1명이 연락도 없이 이탈하는 바람에 이를 대체할 인력을 웃돈을 주고 데려오는 등 애를 먹었다. 일할 사람이 사라지는 바람에 일은 일대로 늦어졌고, 더는 지체할 수 없어 수소문해 급하게 인력을 구하는 바람에 평소보다 더 많은 임금을 줘야했다.
A씨는 "필요한 시기를 위해 외국인 근로자 명수까지 맞춰 신청하는 등 수확 프로그램을 짰는데, 이들이 이탈해버리면 농가는 대책을 세우기 어렵다"며 "자칫 일손을 덜려다 일만 더 많아지게 된다"고 했다.
이 같은 이탈 사례는 경북 전역에서 나타나고 있다. 성주군에서는 올해 필리핀 계절근로자 124명이 입국해 지역 62곳 농가에 배치됐으나 이중 22명이 무단이탈해 잠적했다.
또 9명의 계절근로자가 전문지식 부족과 건강 문제 등으로 농장주 요청으로 농장에서 퇴출당해 본국으로 쫓겨 가기도 했다.
성주에서 참외 농사를 짓는 한 농장주는 "농사일에 아무런 준비가 돼 있지 않으면 일을 가르치다 정해진 기간을 허비하게 된다"며 "농장 등 현장에 파견할 때 최소한의 농사 지식 등은 사전 교육이 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지난해에는 영양지역으로 들어온 우즈베키스탄 계절근로자 가운데 10명이 무단이탈해 지금까지 행방을 찾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올해 농촌 인력 부족현상을 덜기 위해 1만1천550명의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입국시킨데 이어 하반기에도 7천388명의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농가에 투입한다.
경북은 하반기에만 1천281명을 배정받아 상주시(308명), 청송군(132명), 예천군(107명), 영주시(85명) 등 총 11개 시·군에 배치한다.
경북 한 지자체 관계자는 "정부에서 외국인 계절근로자에 대한 교육 매뉴얼이나 의무 사항, 이탈 방지를 위한 페널티 등의 법을 만들어 시행한다면 지자체나 농가에서 이들을 좀 더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