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장관 보고받은 尹 "원전 생태계 조속히 복원하라" 지시
신한울 3·4호기 환경평가 실무절차 착수
윤석열 정부가 전임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공식 폐기한 것에 이어 원전산업 생태계 복원과 '원전강국'으로의 진입 시기를 최대한 앞당기겠다는 계획을 12일 밝혔다.
이를 위해 당초 2025년 상반기로 알려졌던 경북 울진의 신한울 3·4호기 공사 재개 시점을 2024년으로 앞당긴다. 신한울 3·4호기 건설용 일감은 올해 1천300억원 규모로 공급하는 데 이어 주계약도 내년 7월로 최대한 앞당겨 맺기로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 집무실에서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으로부터 이같은 내용을 보고 받은 뒤 "원전 생태계를 조속히 복원하고 일감을 조기 공급하라"고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규제혁파, 연구개발(R&D) 지원, 첨단인재 양성을 통해 성장지향 전략을 확고하게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반도체 산업의 견고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생태계 구축을 적극 지원하길 바란다"면서 "마드리드 정상외교와 연계한 원전, 방산, 인프라 수출에 관해 산업부가 중심이 돼 조기 성과를 도출하도록 진행하라"고 주문했다.
이에앞서 이 장관은 원전 확대를 위해 신한울 3·4호기 조기 건설에 나서고, 연내 1천300억원 규모의 원전 일감을 공급하는 방안 등을 윤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산업부는 신한울 3·4호기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를 즉시 개시하기 위해 최근 환경부와 관련 실무 절차에 착수했으며 오는 2024년부터 본격적인 건설을 추진할 방침이다.
신한울 3·4호기 주계약은 내년 7월까지로 최대한 앞당기고 사전 제작 일감은 내년 초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산업부는 기존 원전의 계속운전에 필요한 절차도 신속히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정부는 원전 발전 비중을 오는 2030년까지 30%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한편 윤 대통령은 지난달 29∼30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마드리드를 찾아서도 폴란드·체코 등을 상대로 '원전 세일즈' 외교에 나선 바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