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권 수 싸움, 민심 역주행…국힘 '이준석 징계' 후폭풍 어디까지?

입력 2022-07-10 18:16:23 수정 2022-07-10 21:55:48

친윤 그룹 자진 사퇴 유도…버티는 이준석 잠행 모드, 11일 최고위는 불참 예정
전대서 선출된 대표, 몰아내더라도 모양새 좀 더 신경 써야 한다는 신중론도 적지 않아

6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 첫 고위 당정 협의회에서 참석자들이 대화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준석 대표, 한덕수 총리, 권성동 원내대표, 성일종 정책위의장. 연합뉴스
6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 첫 고위 당정 협의회에서 참석자들이 대화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준석 대표, 한덕수 총리, 권성동 원내대표, 성일종 정책위의장. 연합뉴스

초유의 당 대표 징계로 뿌리까지 흔들리고 있는 여당의 내홍이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정치권에선 윤리위 결정이 섣불렀다고 주장하는 이 대표와 '권한대행체제'를 기정사실화하려는 이른바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 사이의 힘겨루기 탓에 상당 기간 여권이 볼썽사나운 모습을 연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통령 지지율 하락, 경제위기 심화, 1천조원 기업 투자 열기 냉각 등 각종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음에도 집권 2개월을 보낸 국민의힘은 민심의 반대 방향으로만 가고 있는 것이다.

국민의힘은 11일 오전 최고위원회의와 초선·재선·중진 등 릴레이 선수별 모임에 이어 오후에 의원총회를 열어 사태 수습을 위한 총의를 모을 예정이다.

하지만 징계 결정에 따른 직무 정지 시기부터 의견이 충돌해 최종 결론까지는 험로가 예상된다.

이준석 대표는 징계 의결 처분 권한은 당 대표에 있고 징계 의결 통지일로부터 10일 이내에 재심 청구를 할 수 있다는 당규를 들어 아직 직무 정지가 아니라고 주장하고, 윤핵관 측은 징계 결정 즉시 이 대표의 직무가 정지된다고 반박하고 있다.

일단 이 대표는 11일 권성동 원내대표가 주재하는 최고위 회의에는 참석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진다.

정치권에선 권 원내대표가 당 대표 직무대행체제를 선언하고 당 수습에 나선 상황에서 무리한 충돌을 피하려는 의도이며, 11일 의원 모임과 의원총회 논의 상황을 지켜본 뒤 앞으로 대응 방안을 정리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 대표가 정치적 책임을 지는 차원에서 스스로 물러나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차기 당권주자로 거론되는 김기현 의원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을 통해 "당대표로서 책임지는 자세를 보이는 것이 도리"라고 했고, 홍준표 대구시장 역시 "(6개월 뒤) 좀 더 성숙해져서 돌아오라"고 했다.

반면 유승민 전 국회의원은 "지금 윤리위나 윤핵관들은 조폭 같다"며 감쌌다. 선출된 당 대표를 이처럼 수모를 주면서 몰아내는 법은 없다는 것이다.

정치권에선 이 대표가 '버티기'를 이어갈 경우 친윤(親尹) 그룹을 중심으로 자진 사퇴를 유도하기 위한 '고립 작전'이 본격 가동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 대표의 거취는 차기 지도부 구성 논의와 직결된다. 임시 전대 및 조기 전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등 새 지도부 선출 방안을 놓고 차기 당권 주자들이 유불리에 따른 주판알을 튀기는 상황이다.

이래저래 정부 정책을 뒷받침하거나 견인해가면서 민생을 살펴나가는 여당의 모습은 당분간 보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