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재유행 경고등이 하나둘씩 켜지고 있다. 무엇보다 신규 확진자 수가 일주일 만에 두 배로 뛰는 '더블링' 현상이 심상찮다. 신규 확진자는 6월 27일 3천423명까지 떨어진 이후 증가세로 돌아서 이달 8일 2만 명 가까이 발생했다. 이는 일주일 전인 7월 1일의 2배 수준이다. 방역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하루 신규 확진자가 15만~20만 명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마저 나오고 있다.
예의 주시해야 하는 변이종은 BA.5다. 전파력이 기존 스텔스 오미크론보다 35%나 높고 백신 또는 자연 감염으로 형성된 항체를 회피하는 능력마저 갖고 있다고 한다. 백신 접종 또는 감염으로 면역력을 지닌 사람도 돌파 감염될 수 있다는 이야기다. 미국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 연구진에 따르면 두 번 이상 코로나19에 감염되면 한 번 걸렸을 때보다 사망 위험이 2배 이상, 입원 위험이 3배 이상 높다고 한다. 감염 경험자라면 재감염되더라도 가볍게 앓고 넘어갈 수 있다는 통념이 깨지고 있는 것이다.
BA.5가 우세종이 되는 것은 시간문제로 보인다. 이에 따른 코로나 6차 대유행 가능성이 다가오고 있지만 이렇다 할 만한 당국의 방역 대책은 보이지 않는다. 정부는 현재로서 사회적 거리두기 재개나 입국 제한 등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4차 전 국민 백신 접종을 검토하고 있다고 했지만 BA.5에 기존 백신 회피 능력이 있다는 해외 보고가 있고 국민들의 백신 접종 피로감을 고려하면 실효성 있는 대응책이라 보기 어렵다.
상황이 이런데도 방역의 총사령탑인 보건복지부 장관은 한 달 보름 넘도록 임명되지 않고 있다. 방역 실무를 지휘하는 보건의료정책실장도 공석이어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이 겸임하고 있다. 게다가 팬데믹의 장기화로 국민들 경각심도 느슨해져 있다.
지금은 휴가철 이동과 에어컨 사용에 따른 실내 감염 등 재유행이 일어날 수 있는 조건들이 갖춰진 상태다. 어떤 일이 있어도 통제 범위를 벗어난 유행 상황이 빚어져서는 안 된다. 특히나 사회적 거리두기에 다시 들어갈 수밖에 없는 사태만은 막아야 한다. 역시 가장 핵심적인 방역 전략은 실내 마스크 착용과 손 위생이다. 지금은 정부도, 국민도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