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반등 조짐을 보였던 미국 뉴욕증시가 기대인플레이션 심화 소식에 다시 주저앉았다. 중국의 코로나19 방역 규제 완화와 은행들의 배당 인상 소식도 증시를 끌어올리지는 못했다.
2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91.27포인트(1.56%) 내린 30,946.9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78.56포인트(2.01%) 떨어진 3,821.5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43.01포인트(2.98%) 급락한 11,181.54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뉴욕증시의 3대 지수는 지난주 5.4∼7.5% 올라 6월 들어 첫 주간 상승을 기록했으나, 월요일인 전날 나란히 소폭 떨어진 데 이어 하락폭을 더욱 늘렸다.
미국 소비자들의 비관적인 경기 전망이 수치로 확인되면서 뉴욕증시의 반등세에 김이 빠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비영리 경제조사기관 콘퍼런스보드가 이날 발표한 6월 미 소비자신뢰지수는 98.7로 전월(103.2)보다 크게 하락, 지난해 2월 이후 16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소비자들이 예상한 향후 12개월 기대인플레이션은 8.0%로 전월(7.5%)보다 높아진 것은 물론 1987년 8월 관련 조사가 시작된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캐시 우드 아크인베스트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CNBC에 출연해 이미 우리가 경기 침체 상태에 빠진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우드 CEO는 "재고 문제가 크다"라면서 "내 45년 경력에서 이렇게 재고가 많이 늘어난 것은 본 적이 없다"라고 주장했다.
UBS는 경기 침체 가능성을 지난 4월에 13%로 예상한 데서 최근 26%로 상향했다. 전날 S&P도 미국의 12개월 내 침체 가능성을 40%가량으로 높였고, 이보다 앞서는 골드만삭스가 내년 미국의 침체 가능성을 30%로 상향했다.
소비심리 약화 속에 이날 시장 전망치보다 낮은 매출 전망치를 내놓은 나이키는 7.0% 급락했고, AMD(6.2%)와 엔비디아(4.9%) 등 반도체주들도 부진했다. 다만 내년 하반기 신형 아이폰에도 5G칩을 독점 공급할 것으로 보인다는 전망이 나온 퀄컴만 4.7% 급등했다.
또 중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입국 규제 완화에 힘입어 윈리조트(3.2%)와 라스베이거스샌즈(4.0%) 등 호텔·카지노 업체들의 주가도 올랐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