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경제과학연구원 설립 약속
정책연구 분야 등 역할 겹쳐
대외환경 대처 혁신 급선무
대구경북연구원(이하 대경연)이 중앙과 지방정부 권력 교체 시기를 맞아 역할 정립과 정체성 확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대경연이 급변하는 대외 환경에 대처하려면 그간 대구경북의 싱크탱크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는지 되돌아보고 변화와 혁신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14일 정치권과 대구시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은 지역 공약으로 '국립 대구경북경제과학연구원' 설립을 약속했다. 대구경북 경제 허브기관을 만들어 산업별로 흩어진 지원을 한 곳으로 모으고 R&D(연구개발) 역량을 획기적으로 강화하는 게 경제과학연구원의 핵심 목표다. 대구시는 내년 사업 타당성 용역 발주를 목표로 TF를 꾸리고 정부 부처와 협의하는 등 연구원 설립 구체화에 나섰다.
문제는 대경연과 경제과학연구원 간 역할이 중첩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경제과학연구원의 기능은 정책연구, R&D, 사업화 중개 연구로 요약된다. 산업동향 분석이나 정책연구 분야에서 대경연과 일부 역할이 겹친다는 의미다. 경제과학연구원이 설립되면 대경연의 위상과 정체성에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홍준표 대구시장 당선인이 불필요한 산하기관 통폐합 공언도 대경연의 위상을 불안하게 하는 요인이다. 게다가 오창균 전 원장이 지난 9일 퇴임했지만 신임 원장 선임 문제는 표류하고 있다. 최종 결정권을 쥔 이철우 경상북도지사가 뚜렷한 의중을 드러내지 않아서다. 이 지사는 홍 당선인과 교감한 뒤에야 신임 원장 선임 여부를 결정할 가능성이 높아 당분간 원장 공백은 계속될 전망이다.
최근 숨 고르기에 들어갔지만 과거 반복됐던 경북도의회와의 예산 갈등, 연구 성과의 대구 편중 논란, 대경연의 대구경북 분리 문제 등 풀어야 할 숙제도 적지 않다.
이처럼 대경연을 둘러싼 대외적인 환경이 만만찮은 탓에 어느 때보다 정체성 확보가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자칫 외부 분위기에 휩쓸려 파열음이 나거나 제 기능을 도외시할 경우 존립 자체도 장담하지 못한다는 얘기다.
이와 관련 지역 학계 관계자는 "변화하는 대외 상황에서 대경연이 제대로 된 위상을 확보하지 못하면 존립 기반 자체가 무너질 수도 있다"며 "애초 설립 목적과 취지에 맞는 역할과 정체성을 찾고 향후 발전 방향도 모색해야 할 때"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