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때 '서울 최고 상승률' 노원구, 尹정부 들어 5주연속↓

입력 2022-06-14 10:09:30

KB시세 기준 0.01~0.05% 하락…5년간 가장 덜 오른 종로구는 상대적 강세

12일 오후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12일 오후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지난 문재인 정부 5년 간 서울에서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노원구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눈에 띄는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14일 KB국민은행의 주택가격동향 월간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부터 임기가 종료된 지난달까지 노원구의 아파트값은 77.89% 상승해 서울 25개 구 가운데 가장 높았다.

노원구의 3.3㎡당 아파트값은 같은 기간 1천641만원에서 3천729만원으로 올랐다.

같은 기간 순위도 21위에서 16위로 다섯 계단 올라 서울 25개 구 가운데 오름폭이 가장 컸다.

노원구 아파트값은 윤석열 정부 출범을 전후로 하락 전환했다.

노원구 아파트값은 KB 주간 시세를 기준으로 지난달 9일(조사일)부터 5주 연속(-0.05%→-0.04%→-0.03%→-0.01%→-0.04%) 떨어졌다. KB시세로 5주 연속 하락세는 서울에서 노원구가 유일하다.

지난해 5월 18일 9억4천만원에 팔린 노원구 월계동 삼호3차 전용면적 59.22㎡ 1층 경우 지난달 28일에는 8억4천만원에 팔렸다. 지난 2월 28일 매매가(8억6천만원)보다도 2천만원 내렸다.

이 아파트는 광운대역세권 개발과 재건축 기대감으로 몇 년간 오름세를 이었지만 차츰 분위기가 바뀌며 최근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

노원에서 영업하는 한 공인중개사는 "지난달까지 보유세 과세 기준일에 따른 매물 증가로 가격이 소폭 내렸다. 노원구에는 대출로 집을 살 수 있는 15억원 이하의 아파트가 대다수여서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에 상대적으로 더 예민한 편"이라고 설명했다.

반대로 문재인 정부 시절 서울에서 아파트값 상승률이 가장 낮던 종로구는 최근 가격이 비교적 강세를 보이고 있다.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모습. 연합뉴스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모습. 연합뉴스

종로구의 지난 5년 아파트값 상승률은 35.96%로, 같은 기간 노원구 아파트값 상승률(77.89%)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 기간 종로구의 3.3㎡당 아파트값은 2천218만원에서 3천729만원으로 올랐다.

서울 25개 구 가운데 종로구의 아파트값 순위도 같은 기간 12위에서 16위로 떨어지며 노원구와 어깨를 나란히 했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이후 4주 간 종로구 아파트값 상승세(0.14%→0.07%→0.14%→0.13%)는 용산구(0.27%→0.31%→0.17%→0.20%) 다음으로 강했다.

종로구 교북동 경희궁자이 4단지 전용 37.2635㎡는 지난해 10월 처음으로 9억원(8층·9억300만원)을 돌파했다. 이어 지난 3월 9억1천만원(7층), 지난달 28일 9억2천만원(14층)에 각각 팔리면서 오름폭을 키웠다.

종로구는 대통령실 이전과 청와대 개방에 따른 유동 인구 증가와 상권 활성화 기대감, 스포트라이트 효과가 반영된 영향으로 풀이됐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전문위원은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으로 거래가 뜸한 가운데 노원은 단기 상승에 따른 부담감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