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2026년까지 국내외 53조 투자 계획에 지역경제도 장밋빛 기대

입력 2022-06-08 15:23:58

그룹사간 사업주도권 확보 경쟁도 시작

포스코본사 전경. 매일신문DB
포스코본사 전경. 매일신문DB

주요 대기업의 '통 큰 투자' 속에 포스코그룹도 2026년까지 국내외 53조 원 투자와 2만5천 명의 근로자 직접 고용을 약속했다.

포스코그룹은 ▷그린 철강 ▷이차전지소재 및 수소 등 친환경미래소재 ▷친환경인프라 ▷미래기술투자 등 핵심사업 경쟁력 강화에 집중 투자할 방침이다.

우선 철강사업 강화를 위해 전기로 신설 및 친환경 설비 도입, 전기차 모터용 철강제품 기술력 강화 등에 약 20조 원을, 친환경미래소재 사업분야에 5조3천억 원을 투자한다.

에너지, 건축 및 인프라, 식량 사업 등 '친환경인프라' 분야에도 5조 원, 미래사업 발굴과 신기술 확보를 위해 2조7천여억 원을 각각 투입한다.

포항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코크스 공장과 열연 공장 가열로, 야드 밀폐화 등에 4조5천억 원을 들인다.

우선 6기 코크스 공장과 2열연 공장 가열로 등에 1조7천억 원, 원료가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야드를 밀폐화하는 작업과 코크스 정비 등 합리화 사업에 2조8천억 원을 올해 내 투자 마무리 짓는다.

여기에 로봇과 AI(인공지능), 자동화 시스템 등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제철소 내 안전관리지원사업에도 최소 1조 원 이상은 투자할 전망이다.

포스코그룹의 이 같은 전체적인 투자강화에 그룹사들도 경쟁에 돌입했다. 그룹사간 비슷한 사업을 주도적으로 유치해 기업 덩치를 키우겠다는 전략이다.

이를테면 포스코플로우(옛 포스코터미널)의 운송사업 등에 포스코ICT의 AI를 도입하는 사업을 진행할 경우, 두 기업이 협력·상생하되 주도권 확보를 통해 기업가치를 높이겠다는 의미다.

포스코 관계자는 "주요 대기업의 투자계획에 발맞춰 포스코도 적극 투자에 동참하게 됐다"며 "무엇보다 미래사업과 지역투자를 통해 포스코의 가치를 현재보다 3배 이상 높여나가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