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한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입법에 대해 국민 절반 가까이 '잘못됐다'고 평가했다. 무당층과 중도층에서도 10명 중 4명이 잘못됐다고 답했다.
6·1 전국동시지방선거가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민주당의 검찰 수사·기소권 분리 법안(검찰청법·형사소송법 개정안) 강행 처리에 곱지 않은 시선이 팽배한 만큼 정치권은 선거결과에 미칠 영향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운다.
여론조사 업체 한국갤럽은 3~4일 이틀간 전국 만 18세 이상 1천명을 대상으로 검찰청법 개정안 국회 통과에 대한 민심을 조사해 그 결과를 6일 발표했다.
갤럽에 따르면 응답자의 47%는 검수완박 입법이 '잘못된 일'이라고 답했다. 이는 '잘된 일'이라고 한 응답자 비율(36%)보다 11%포인트(p) 높은 수치다. 17%는 평가를 유보했다.
전날 공개된 또 다른 조사에서도 검수완박 입법을 '잘못된 일'로 보는 여론이 52%에 달했다.
여론조사 기관 엠브레인퍼블릭, 케이스탯리서치, 코리아리서치, 한국리서치가 공동으로 지난 2~4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천2명을 대상으로 전국지표조사(NBS)한 결과다. 해당 입법을 찬성하는 응답은 33%로 차이는 19%p로 더 컸다.
정치권에서는 이처럼 여러 지표를 토대로 검수완박 이슈가 지방선거에 영향을 줄 중요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을 점친다.
앞서 민주당은 '검찰 정상화'라는 명분으로 위장 탈당, 회기 쪼개기 등 '꼼수'까지 동원하며 입법을 강행했다. 여기에 문재인 대통령은 여야의 극한 대치, 검찰의 집단 반발 사태에도 '검수완박 드라이브'에 마침표를 찍고자 국무회의 시간마저 당일에 변경하는 등 절차적 정당성을 저버렸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를 지켜본 부정적 여론이 그대로 표심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갤럽 조사에서 현재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고 한 무당층 중에선 41%, 중도층 성향 응답자 가운데 47%가 '잘못된 일'이라고 답했다. '잘된 일'이라고 답한 이들은 무당층에서 22%, 중도층에서 34%에 불과했다"면서 "민주당이 지방선거를 앞두고 중도층 확장에 제약이 생겼다고 볼 수 있는 일"이라고 해석했다.

또 다른 정치권 관계자도 "4년 전 총선에서 강남권을 제외한 전역을 민주당에 몰아준 서울 민심조차 갤럽 조사에서 검수완박 부정 평가가 51%를 기록했다. 경기도지사 선거 판세는 민주당과 국민의힘 후보가 엎치락뒤치락 중인데 경인권에서 '잘못된 일'이라는 응답이 49% 나왔다"면서 "민주당으로서는 선거일까지 남은 시간 지지층 결집만이 '검수완박 이슈' 출구전략이라고 생각될 것"이라고 했다.
한편, 갤럽 조사는 무선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유선전화 RDD 10% 포함)해 전화 면접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11.3%이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NBS는 100%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이용한 전화 면접조사로 이뤄졌으며 응답률은 22.0%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자세한 조사 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