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새 정부 원전 정책 발맞춰 동해안 원자력 거점 만든다

입력 2022-05-03 16:51:17

'탈원전 폐기, 원자력 생태계 강화' 윤 정부 110대 국정 과제 포함
원전활용 수소생산 실증단지 및 SMR특화 산단 조성 등 미래 먹거리 창출

신한울 원자력발전소 1·2호기 전경. 매일신문 DB
신한울 원자력발전소 1·2호기 전경. 매일신문 DB

경상북도가 추진하고 있는 동해안 원자력 거점 조성계획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3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발표한 110대 국정과제에 '탈원전 정책 폐기, 원자력산업 생태계 강화'가 포함됐기 때문이다.

앞서 경북도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확정된 후 인수위에 원자력 주요 사업을 건의하고 소관 중앙부처를 방문해 설명하는 등 활동을 펼쳐왔다.

그 결과가 국정과제 반영으로 결실을 맺은 셈이다.

경북도는 우선 신한울 3·4호기 건설 및 기존 원전 계속 운전으로, 소요되는 각종 부품 발주 등 원전 산업계 일감이 창출될 것으로 전망한다. 탈원전 정책으로 침체됐던 원전기술 연구개발 및 인력양성도 활성화 돼 원전 생태계 경쟁력도 강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소형모듈원자로(SMR) 시장을 선점하고 수소경제 시대를 선도한다는 계획에는 청신호가 켜졌다.

경북도는 이미 경주에 SMR 개발을 담당할 문무대왕과학연구소를 조성 중이며 SMR 사용화를 통한 수출 공급망 확보를 위해 SMR 특화 국가산단 유치를 추진 중이다.

울진에는 원자력 활용 수소생산 및 기업유치를 위한 수출·실증단지를 조성 할 계획이다. 원자력의 고온 열과 전력을 활용, 값싸고 질 좋은 그린수소 대량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외에도 경북도는 원전해체, SMR 등 첨단기술 수요에 따른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글로벌 원자력 공동캠퍼스를 조성할 계획이다. 국립 탄소중립 에너지미래관 설립과 한수원 아트센터 및 연수원 설립도 추진한다.

경북도는 앞으로 확정된 국정과제가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소관 중앙부처, 국회 등을 찾아 사업을 설명하고 국비 반영 등 지원을 끌어 낼 작정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인해 경북은 가장 큰 피해를 봤다. 우수인력의 유출, 원전생태계 파괴 등 문제도 심각했다"면서 "새 정부의 탈원전 정책 폐기는 당연하며 좋은 결정"이라고 반겼다.

그러면서 "원전사업재개는 우수한 인력이나 인프라가 더 유출되기 전에 빨리 진행돼야 한다"며 "관련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