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를 위한 교육 Q&S] 우리 아이 서・논술형 평가 준비, 어떻게 해야 할까?

입력 2022-04-25 06:30:00

서・논술형 문항에 제시된 '조건' 만족하는 문장 쓰기 연습 필요
책 읽는 습관 자체가 없다면 우선 좋아하는 장르부터 읽도록
단계별 풀이나 해결 과정까지 글로 쓰는 연습도 좋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Q. 아이의 학교에서 특정 과목의 일정 비중 이상을 서・논술형 평가로 치른다는 안내장을 받았습니다. 수능에서도 서・논술형 문항이 도입돼야 한다는 의견이 있는 만큼, 단답의 답변보다 서술과 논술의 답변이 아이의 평가를 더 의미 있게 하리라는 점은 동의를 합니다. 그러나 가정에서 아이와 어떤 식으로 서・논술형 평가를 대비해야 할지에 대해 걱정이 됩니다.

◆문항을 잘 읽고 파악하는 연습으로

서술형 문항과 논술형 문항은 서답형 문항의 한 유형입니다. 서답형 문항은 주어진 답지 중에서 정답을 선택하는 선택형 문항과 달리, 학생이 직접 그 답안을 작성하도록 하는 문항입니다.

서술형 문항은 지식이나 개념, 원리, 의견 등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문항으로, 알고 있는 내용을 설명하거나 주어진 자료를 요약 또는 분석하고 풀이 과정을 나열하는 질문입니다.

논술형 문항은 학생이 자신의 주장과 근거를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게 조직해 작성하는 질문입니다. 이러한 문항은 자료를 평가하거나 해석하고, 근거를 들어 주장하거나, 해결책을 제시하는 내용으로 구성됩니다. 한 개 또는 몇 개의 단어, 숫자, 기호, 수식, 그림 등으로 답을 완성하는 정도의 단순한 사고를 요구하는 문항은 서술형 문항이 아닙니다.

서・논술형 평가 문항은 질문의 내용인 '발문', 학생들이 응답에 참고해야 할 '보기 또는 자료', 발문으로 학생이 작성해야 하는 답의 내용을 한정하는 '조건' 등으로 구성됩니다. 발문과 조건에는 학생들이 작성해야 하는 답변의 내용이 명확하게 제시됩니다. '보기 또는 자료에서 찾아 쓸 것', '특정 단어를 언급할 것', '세 문단으로 작성할 것' 등의 내용이 그것입니다.

서・논술형 문항을 써 보는 연습을 할 때 먼저 이러한 문항을 잘 읽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어린 학습자라면 아이가 어떤 내용과 범위로 한정해 작성해야 하는지 체크를 해 보는 등 분석적으로 읽을 수 있도록 함께 연습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글을 쓰면서 물음에 맞지 않는 답변을 쓰는 학생이라면 문항에서 써야 할 내용을 표시해 두고, 그러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문장을 써 보는 연습을 해 보기 바랍니다.

◆평소에 꾸준히 읽고, 생각을 정리하자

원론적인 이야기지만 책을 꾸준히 읽는 것도 중요합니다. 특히 서・논술형 문항에서 제시되는 자료를 읽고, 주어진 시간 안에 발문에 맞게 해석하는 것은 넓은 독서가 바탕이 됩니다. 그래서 하루에 삼십 분이라도 책을 읽는 시간을 들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냥 시간이 남을 때, 할 일이 없을 때 읽는 것이 아니라 저녁 식사를 하고 30분, 학교 갈 준비를 하고 20분 등과 같이 독서를 중요한 하루 일정으로 잡으면 좋습니다. 독서도 다른 일정과 같이 시간을 내서 집중해 읽고자 하는 마음이 필요합니다. 특히 어린 자녀의 경우, 아주 어린 나이가 아니라면 잠들기 전에 책 읽는 시간을 가지지 않도록 합니다.

또한, 다양한 주제를 다룬 글을 읽어보면서 글의 내용을 이해하려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의도적으로 사회, 과학, 역사 등 다양한 장르를 다룬 작품을 읽으면 좋은데, 비문학 장르의 경우 책 한 권을 읽는 것이 어려운 자녀도 분명히 있을 것입니다. 그런 경우엔 초・중・고등학교의 수준에 맞는 교양잡지를 읽거나 신문을 읽는 것도 좋습니다.

자녀가 아직 책 읽는 습관 자체가 부족한 경우 처음부터 거부감을 가지는 장르의 책을 읽히기 보다는 일단 좋아하는 장르부터 읽기 시작하고, 차차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하기 바랍니다.

◆단계별 풀이나 해결의 과정까지 글로 쓰는 연습을

글로 쓰는 것도 충분한 연습이 필요합니다. 보기나 자료를 제대로 이해하고, 어떤 내용을 답해야 할지 이해한 후에는 서・논술형 답안을 실제로 작성해 보는 연습을 꾸준히 해야 합니다. 막연히 머리로 생각을 정리하는 것과 실제로 글로 쓰는 것은 큰 차이가 있습니다. 어린 자녀의 경우 문제를 함께 읽은 뒤 그 답변의 구성에 대해 함께 이야기 나누는 것도 좋습니다. 서・논술형 문항이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는 부모님과 함께 구성한 내용을 스스로의 문장으로 써 보는 것도 훌륭한 연습이 됩니다.

논술형 문항은 특히 많은 분량을 써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나름대로의 개요를 작성하는 연습도 필요합니다. 개요는 '상황-문제 제시-대안1- 대안2-기대효과' 등 문항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맞춰 간략하게 작성합니다. 긴 글을 쓰기 어려워하는 자녀라면 써야 하는 분량을 개요별로 나눠서 배정하고, 각 개요를 짧은 호흡으로 작성해 보기를 바랍니다.

과학이나 수학 교과에서도 서・논술형 평가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특히 수학과에 있어서의 서・논술형 평가는 풀이 과정 요소별, 단계별로 채점이 이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문제를 풀어나가는 과정을 자세하게 써 나가는 연습, 여러 가지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수학 문제는 잘 풀 수 있는데 풀이 과정을 기록하지 못하는 학생이 있다면, 답을 어떻게 풀 수 있었는지 자기 나름대로 과정을 말해보고, 그 말을 그대로 기록해 보는 연습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