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박근혜 전 대통령 사전 입주 앞두고 '드론 주의보'
경호·경비 취약점 꼽히자 전체 기동대원 450명 온라인 특훈
무인비행장치인 '드론'(drone)이 일상화되면서 경호·경비 업무를 맡은 현직 경찰관에게 '드론 자격증'이 필수가 됐다. 드론을 활용한 실종자 수색은 물론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막기 위한 기초적인 소양이 요구되고 있다.
지난달 25일 박근혜 전 대통령 사저 입주 행사를 앞둔 대구경찰청의 가장 큰 고민거리는 다름 아닌 드론이었다. 몰려드는 인파는 기존 매뉴얼대로 관리·통제가 가능했지만 하늘로 날아드는 드론은 경호 취약점으로 꼽혔다.
대구 도심은 공항 탓에 반경 9.3km 기준으로 대부분 비행금지 구역이지만 달성군 등 외곽 지역은 제재할 방법도 마땅찮았다. 경찰 관계자는 "조종사 실수나 기기 결함으로 드론이 추락하면 아래에 있는 사람들이 다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경호도 신경 써야 했다"고 말했다.
현직 경찰관들이 드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점도 아쉬운 대목이었다. 드론이 어떻게 운행되고, 어떤 위험성이 있는지, 운행하기 위해선 어떤 자격이나 조건을 갖춰야 하는지 아는 경찰은 드물다.
기술 변화에 따라 드론에 대해서도 기초적인 상식을 숙지해야 한다고 본 대구경찰청은 현장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달부터 전체 기동대원 450명을 대상으로 한국교통안전공단을 통해 온라인 드론 교육을 받고 있다.
경찰은 전 기동대원을 대상으로 기초적인 드론 지식을 평가하는 '무인멀티콥터(4종) 자격증' 취득도 유도하고 있다. 올해 안으로 '전원 취득'이 목표다. 앞서 드론 전문부대로 지정된 동부경찰서 3기동대원 85명은 전원이 4종 자격증을 취득했다.
경호·경비업무뿐만 아니라 실종자 수색에 드론을 활용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경찰 무인비행장치 운용규칙에 따라 드론은 구조자 수색 목적으로만 운용된다. 대구경찰청이 보유한 드론은 모두 10대이며 장비 관리를 맡고 있는 인원 3명 모두 드론조종사 자격증을 갖추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드론이 도입된 2019년 11월부터 지금까지 월평균 20일 정도 비행하고 있으며 달성보 강변, 가창면 야산, 사문진교 강변 등에서 구조자 3명을 발견했다"며 "이달 기준으로 기동대원 450명 중 300명가량이 온라인 수업을 듣고 평가를 거쳐 자격을 갖췄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