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예천군수 적합도 여론조사에서 현 김학동 예천군수와 김상동 전 예천부군수가 오차범위 내 접전을 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일신문이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7일 예천군 거주 만 18세 이상 유권자 509명을 대상으로 '누가 예천군수로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느냐'고 물은 결과(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4.3%포인트〈p〉), 김 군수가 50.5%, 김 전 부군수가 43.6%를 얻어 오차범위 내인 6.9%p차 경합을 벌였다.
'적합 인물 없음'과 '잘모름' 등 부동층은 4.0%로 집계됐다.
현역 프리미엄을 누리는 김 군수와 행정 전문가를 자처하는 김 전 부군수 간 일대일 양자구도에서 오차범위 내 접전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예천은 부동층이 4%에 불과한 만큼, 남은 기간 누가 상대표를 더 많이 가져오고 누가 표단속을 더 잘하는지가 변수가 될 전망이다.
두 사람은 지난 예천군수 선거 자유한국당 경선에서 맞붙어 김 군수가 승리한 후 본선에서 최종 당선됐다. 이번에도 경선이 실시될 경우 4년 만의 '리턴매치'가 성사된다. '정치 신인'으로 분류된 김 전 부군수는 경선 시 가산점 20%를 받아 초박빙 승부가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재선을 노리는 김 군수는 교육사업가 출신인 반면, 두 번째 출마에 나선 김 전 부군수는 행정가 출신이다. 두 사람은 도청 신도시 개발 사업의 연착륙을 위해선 각자 자신의 경험이 유용하다고 어필하고 있어 예천군민의 선택에 관심이 집중된다.
김 군수는 ▷30대(51.3%) ▷40대(50.6%) ▷50대(51.8%) ▷60대 이상(52.0%)에서 더 높은 지지를 받았다. 반면 김 전 부군수는 18세~20대(47.8%)에서 선두에 올랐다.
선거구(도의원 선거구 기준)별로 제 1선거구(예천읍·효자면·은풍면·감천면·보문면)는 김 군수가 53.3%, 김 전 부군수가 42.9%였다. 두 사람 간 격차는 10.4%p다.
제 2선거구(호명면·유천면·용궁면·개포면·지보면·풍양면·용문면)는 김 군수가 48.6%, 김 전 부군수가 44.1%였다. 격차는 4.5%p다.
지지정당별로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김 군수가 51.1%, 김 전 부군수가 46.5%였다.
성별로 남성에선 김 군수가 51.4%, 김 전 부군수가 42.4%를 각각 얻었다. 여성에선 김 군수가 49.7%, 김 전 부군수가 44.8%였다. 격차는 남성 9.0%p, 여성 4.9%p였다.
지지후보 선택 기준 조사에선 행정능력이 39.7%로 1위에 올랐다. 이어 능력과 평판 28.5%, 지역사회 공헌도 19.1%, 공약과 정책 4.7%, 소속 정당 3.2%, 정치적 역량 1.2% 순이었다.
지지정당 조사에선 국민의힘이 87.1%로 선두를 달렸다. 이어 더불어민주당 5.6%, 정의당 1.3%, 기타정당 0.4% 순이었다. '지지정당 없음'과 '잘모름' 등 무당층은 5.7%였다. 특히 60대 이상의 89.9%가 국민의힘을 선택, 지지율이 90%에 육박했다.
오는 6월 1일 치러지는 전국동시지방선거 투표 의향과 관련해선 '반드시 투표하겠다' 66.6%, '가능하면 투표하겠다' 27.5%, '투표하는 날 가봐야 알겠다' 4.8%, '투표하지 못하거나 안할 것 같다' 0.3% 순이었다.
여론조사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여론조사 개요
<예천군수>
▷의뢰기관=매일신문
▷조사기관=㈜한길리서치
▷조사기간=2022년 4월 17일
▷조사 대상=경북 예천군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표본 수= 509명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4.3%포인트
▷응답률=16.9%
▷표본 구성=무선 ARS 100.0%
▷표집틀=휴대전화 가상번호
▷표집방법=성/연령/지역별 할당 무작위 추출
▷통계보정=2022년 3월말 행정 자치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값 부여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