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두 국가 간에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과 유럽 국가들이 우크라이나에 무기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한국이 '살상무기 지원불가' 방침에 따라 무기를 지원하지 않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13일(현지시간) 올라프 슐츠 독일 총리는 현지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독일은 우크라이나에 제대로 된 무기를 공급해 결정적 노선을 바꾸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간 독일은 2차 세계대전의 과오를 반성한다는 의미에서 '분쟁 지역에 살상 무기를 공급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지켜왔으나, 우크라이나전을 계기로 대외 정책을 전환한 것이다.
슐츠 총리는 "다만 독일을 비롯해 북대서양조약기구, 나토 동맹국들이 전쟁의 당사자가 되는 것은 막겠다"고 설명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같은 날 볼라디미르 젤란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통화 직후 낸 성명에서 "8억 달러(약 9천800억 원) 규모의 군사 원조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과 동맹인 우크라이나에 꾸준한 무기 공급은 러시아에 맞선 전투를 지속하는 데 중요하다"며 곡사포 18기와 포탄 4만 발 등 군사 무기 제공도 약속했다.
유럽연합(EU)도 이날 우크라이나에 총 5억유로(약 6천650억 원)가량의 세 번째 군사원조를 승인했다.
EU이사회는 성명을 통해 "개인 보호 장비와 응급 키트, 연료뿐만 아니라 방어를 위한 치명적인 군사 장비와 보급품 등을 공급하는데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호세프 보렐 EU 외교·안보 정책 고위대표는 "우크라이나 영토와 국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EU가 군사적 지원을 지속하고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앞서 EU는 전쟁 초기인 지난 2월 28과 3월 23일에도 각각 5억 유로 규모의 군사 원조를 제공한 바 있다.
한국은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제외한 군수물자를 추가 제공할 방침이다.
13일 군 당국은 "우크라이나에 방탄조끼와 헬멧, 전투식량, 의료용품 등 20억 원 상당의 군수물자를 제공하기로 하고 수송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이는 지난 11일 젤란스키 대통령이 국회 화상 연설에서 한국 정부에 러시아의 탱크와 배, 그리고 미사일을 막을 수 있는 군사 장비를 달라고 요청한 데에 따른 것이다.
다만 '살상무기 지원 불가' 원칙에 따라 우크라이나에 무기 지원은 이뤄지지 않는다.
이번 군수물자 제공은 지난달 보낸 규모(10억 원) 대비 2배 정도 늘어난 수준으로, 주로 우크라이나 쪽에서 긴급히 필요하다고 요청한 품목 위주다.
군은 이르면 다음 주부터 이달 말까지 유럽행 정기 화물 항공편을 통해 수차례에 걸쳐 비전투물자를 현지로 보내기 위해 우크라이나 정부와 협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