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장애인 거주시설 '임금횡령·인권유린' 논란

입력 2022-04-14 14:09:00 수정 2022-04-14 21:18:28

한 재활원 전 원장, 근로장애인 임금 2억여원 횡령혐의 경찰수사
경북장애인권익옹호기관, 이 시설 종사자의 장애인 학대 조사
'420장애인차별철폐안동공동투쟁단', 안동시 대책마련 촉구 집회

안동지역 장애인 거주시설인 한 재활원의 임금 횡령과 학대 정황이 알려지면서 안동지역 장애인권활동과 노동 등이 참여하는 공동대응투쟁단 안동시청 앞에서 집회를 갖고 안동시의 대책마련을 요구하고 았다. 엄재진 기자
안동지역 장애인 거주시설인 한 재활원의 임금 횡령과 학대 정황이 알려지면서 안동지역 장애인권활동과 노동 등이 참여하는 공동대응투쟁단 안동시청 앞에서 집회를 갖고 안동시의 대책마련을 요구하고 았다. 엄재진 기자

경북 안동의 한 장애인 거주시설에서 오랫동안 장애인들이 직업 훈련으로 일해 벌어온 임금 수억 원을 횡령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또 이 시설은 입소 장애인들에게 폭언과 폭행 등 인권유린 행위를 일삼은 정황도 경북장애인권익옹호기관에 접수되면서 신체적·정신적 학대뿐 아니라 보조금 횡령 의심에 대해 전수 조사에 들어갔다.

14일 안동시에 따르면 장애인 거주시설 지도점검 과정에서 30여 명의 지적 장애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복지법인의 한 재활원 A(56) 전 원장이 생활지도원으로 근무하면서 수년 동안 입소자 가운데 직업재활에 나섰던 근로 장애인들의 임금을 횡령한 의혹에 대해 안동경찰서에 수사의뢰했다.

안동시는 근로장애인 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명의 근로 임금을 횡령한 정황을 확인했지만, A씨가 부인하면서 경찰에 수사의뢰했다는 것.

안동시 조사 결과 10명의 근로 장애인들이 안동지역 나눔공동체, 톱밥공장, 세탁공장 등에서 직업 재활에 나서 받은 임금 통장을 A씨가 관리하면서 1억4천500만원을 현금으로 인출한 정황을 확인했다.

또 A씨는 매월 30만원씩 1년간 가입한 적금 만기 해약금 5천200만원도 횡령한 의심을 받는 등 횡령 의심 금액이 2억2천200만원 달하고 있다. 이 가운데 장애인 B씨 경우는 5천500여만원에 이른 것으로 조사됐다.

이 재활원은 최근 거주 장애인들에 대한 학대 신고가 포항에 있는 경상북도 장애인권익옹호기관에 접수돼 이 재활원에 대해 학대와 보조금 횡령 등 전수조사에 나섰다.

경북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은 지난 3월 이 재활원 종사자의 장애인 학대 의심 신고를 접수하고, 팀장 등 2명을 시설에 보내 1차 조사와 함께 학대 행위자와 피해자를 긴급 분리시켰다.

한편 안동지역 장애인권 활동과 탈시설·자립생활 권리 확보를 위해 장애·노동·시민사회단체 등 공동대응기구인 '420장애인차별철폐안동공동투쟁단'은 14일 안동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안동시에 ▷학대 피해자에 대한 긴급 보호조치 즉각 실시, 피해 회복 위한 모든 지원방안 마련 ▷장애인시설 지도감독 소홀 책임자 문책 ▷학대 가해자 및 관련자 전원 철저 조사 엄벌 ▷상습 학대 A시설을 폐쇄, 근본적인 탈시설·자립생활 대책 수립 등을 촉구했다.

횡령 의심을 받는 A씨는 "지도 점검 과정에서 현금 보관한 부분이 횡령 정황으로 지적됐다. 하지만, 보는 시각에 따라 현금으로 보관한 부분이 유용 의심을 받을 수 있다"며 "이 가운데 한 장애인은 부모와의 오랜 시간 연락이 되지 않아 대신 관리하다가 나중에 전했다. 횡령한 사실은 없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