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정도 갖고 있으면 한국 40대 이하 '영리치' 된다

입력 2022-04-13 16:36:31 수정 2022-04-13 16:51:10

한국 40대 이하 젊은 부유층 평균 자산 '66억원'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한국의 40대 이하 젊은 부유층(영리치)은 평균 66억원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3일 '2022 코리안 웰스 리포트'에서 지난해 12월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1천95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와 하나은행 프라이빗뱅커(PB) 고객 21명 인터뷰를 공개했다. 보고서에서 금융자산을 10억원 이상 보유한 응답자 중 20∼40대 131명은 영리치, 50대 이상 577명은 '올드리치'로 구분됐다.

조사 결과 국내 영리치의 1인당 평균 총자산은 66억원이었고 자산 종류별 비중은 부동산 60%, 금융자산이 40%였다. 자산구성은 올드리치와 비슷했다. 영리치의 평균 보유 주택 수는 1.7채였고, 거주 지역은 서울 강남 3구(37%), 경기(21%), 강남 3구 이외 서울(19%) 등 대부분 수도권에 몰려 있었다.

부를 형성한 주된 원천은 근로소득(45%)이 대부분이었다. 사업소득(23%), 상속·증여(18%), 재산소득(15%) 등이 뒤를 이었다. 직업군을 보면 회사원(30%)이 가장 많았고, 의료·법조계 전문직(20%), 자영업(15%), 최고경영자 등 기업체 임원(10%) 순이었다.

영리치 응답자 4명 중 3명은 여러 소득원천을 가지고 있었다. 이 가운데 근로소득과 재산소득 조합은 연평균 4억5천만원, 사업소득과 재산소득 조합은 연평균 4억8천만원의 소득 흐름을 창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투자 현황을 보면 영리치는 금융자산의 25%를 주식으로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주식을 포함해 외화자산을 보유한 비중은 65%였다. 이밖에 영리치의 47%는 예술작품이나 음원, 대체불가토큰(NFT) 등 새로운 투자처에 향후 투자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상당수 부유층은 코로나19 기간 자산을 크게 늘린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인 부유층 중 29%는 팬데믹 기간 중 자산이 10% 이상 증가했다고 답했다.

부유층은 향후 경기 전망에 대해 낙관적이지 않지만, 대부분은 당분간 자산 구성을 그대로 유지하겠다고 말했다. 부동산 비중을 줄이고 금융자산 비중을 늘리겠다는 부유층은 19%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