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도지사, 구(舊) 대외통상교류관 내 공관 관사로 이용
고위 공무원용 전세 임차 9개동 보유
최근 시·도지사, 고위공직자 관사 철폐 여론이 높아지자 경상북도가 고민에 빠졌다. 관사가 공직자에 대한 과도한 의전이라는 부정적 이미지가 있지만 중앙부처에서 도청으로 발령 난 고위공직자 등을 위해 필요한 측면도 있어 일괄로 없앨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13일 경북도에 따르면 도는 직접 소유한 도지사 공관 1개동, 아파트를 전세로 임차한 관사 9개동 등 총 관사 10개동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경상북도 공유재산 관리조례에 근거해 제공된다.
전세임차 관사 8개동은 ▷행정·경제부지사 ▷재정실장 ▷국제관계대사 ▷기획조정실장 ▷투자유치실장 ▷소방본부장 ▷자치경찰위원장이 쓴다. 나머지 1개동은 동부청사가 소재한 포항에 있으며 공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공직자 관사를 두고 새 정부가 존치 여부를 검토할 분위기가 일고 있다. 안철수 대통령직 인수위원장은 이날 "공직자 관사 실태를 철저히 살피고 관사를 포함한 불요불급한 의전은 철폐하도록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특히 "시·도지사가 자기 집에 살지 않고 관사에 살 이유는 없다"며 "국민 세금을 낭비하는 공간은 정리하고 본인 집에서 살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북도는 공관 1개동을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2018년 취임한 이후부터 관사로 활용 중이다. 이 공관은 과거 대외통상교류관이었다가 현재 잡아센터로 명명한 건물 내부에 있다.
경북도청 청사 뒷편에 자리했으며 규모는 잡아센터 건물(면적 948.87㎡)의 18.4%(174.6㎡)가량을 차지한다.
경북도 관계자는 "잡아센터 전체 건물을 공관으로 오해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일부만 사용하고 있다"면서 "전기세 등 각종 사용료는 도지사가 직접 낸다"고 설명했다.
이어 "임차한 관사는 중앙부처에서 발령받아 온 고위공직자 등을 위한 것으로 타 시·도 등 대부분의 자치단체가 운영하고 있다"면서 "다만 새 정부에서 고위공직자 관사 자체가 부적절하다고 보고 다른 지침이 세워진다면 따를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최근 관사를 두고 여러 말이 많은 것을 알고 있다"면서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는 만큼 선거를 치룬 뒤 입장을 내놓겠다"며 말을 아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