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지방선거 기획단 구성…여성·청년 30% 공천 강제 검토

입력 2022-03-22 16:45:26 수정 2022-03-22 21:52:47

더불어민주당 박지현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이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2045 민주당 정치인 연대
더불어민주당 박지현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이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2045 민주당 정치인 연대 '그린벨트'와 민주당 비대위와의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오는 6·1 지방선거에서 후보자의 30% 이상을 여성과 청년으로 강제 할당하는 방안을 찾기로 해 성사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민주당은 23일 지방선거 기획단 구성을 완료하고 지방선거 준비에 본격적으로 돌입한다. 현재 기획단은 김영진 사무총장이 단장을, 조승래 전략기획위원장이 간사를 맡고, 외부 인사 등 인선이 진행하고 있다.

이번 공천의 핵심은 여성·청년 확대 여부다. 송영길 전 대표는 올 초 인적 쇄신을 발표하면서 오는 지방선거에서 광역·기초의원의 30% 이상 청년 공천을 의무화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대선 패배로 비상대책위원회가 꾸려진 이후에는 박지현 공동비대위원장이 "여성과 청년에게 공천을 확대하겠다"며 "젊은 정치인들이 정치에 도전하고, 활약할 수 있도록 공천 시스템을 개편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현행 민주당 당헌·당규에도 공직선거 후보자의 30% 이상을 여성과 청년으로 추천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그러나 선거의 성격과 규모에 따른 예외 규정과 현실적 한계 등으로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

민주당은 지난 대선에서 드러난 여성·청년 표심에 화답하고 공약을 준수하는 차원에서 이번에는 30%를 강제 할당하는 방안을 찾아보겠다는 입장이다.

여성·청년 및 정치 신인에 대한 가점 등 기존 방식도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경선 과정에서 여성·청년 후보자의 경우는 득표율의 최대 25%를 가산하고, 정치 신인에 대해서는 최대 20%의 가산점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예비후보들의 대선 기여도 평가 방안도 기획단의 논의 대상 중 하나다. 지역별 득표율, 대선 기간의 활동 실적, 각종 지침의 수행 여부 등을 평가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이는 대선 과정에서 복당한 인사들의 공천과도 연결돼 있다. 민주당은 올 초 민주·개혁 진영의 대통합을 도모하는 차원에서 탈당자들의 일괄 복당을 허용한 바 있다.

그러면서 탈당 경력자가 공천을 신청할 경우 10%를 감점하는 페널티 규정에 대해서도 "대선 승리 기여도를 평가해 달리 반영할 수 있다"는 특례규정을 만들었다.

당내 일각에서 '문재인 정부 인사'에 대한 무공천 주장도 나온 바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