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회재 의원 국세청 자료 분석…대구, 서울의 20분의 1 수준
인구 10만명당 수치는 대구 11위·경북 6위
상위 1% 근로소득자 100명 중 2명만 대구의 직장에 다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75명은 수도권 직장인으로 조사돼 고소득 일자리의 지역 불균형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21일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광역자치단체별 상위 1% 근로소득자 현황' 자료 등에 따르면 2020년 귀속 근로소득 연말정산 결과, 상위 1% 근로소득자는 19만4천953명이다.
이중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직장에 다니는 사람은 전체의 74.5%에 해당하는 14만5천322명이었다.
전국 17개 시도별로 보면 상위 1% 근로소득자 수는 서울이 8만6천716명(44.5%)으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경기 5만2천651명(27.0%), 부산 8천447명(4.3%) 등이 이었다.
대구는 4천417명(2.3%), 경북은 5천444명(2.8%)으로 각각 7위, 6위를 차지했다. 서울과 비교하면 대구는 20분의 1, 경북은 16분의 1 수준에 불과할 정도로 격차가 컸다.
지역적 특수성을 가진 세종(516명)을 제외하면 상위 1% 근로소득자가 가장 적은 곳은 제주(1천163명)였다. 강원(1천912명), 전북(2천333명)도 다른 지역에 비해 상위 1% 근로소득자가 적었다.
인구 수를 고려한 인구 10만명당 상위 1% 근로소득자 수도 수도권이 높게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상위 1% 근로소득자 수는 서울이 897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 392명, 울산 287명, 부산 249명, 대전 223명 등의 순이었다.
대구(183명)와 경북(206명)은 각각 11위, 6위를 차지했다.
인구 10만 명당 상위 1% 근로소득자 수가 적은 곳은 강원(124명) 전북(129명) 세종(145명) 등이었다.
김회재 의원은 "지역은 이미 소멸의 위기를 맞고 있다"면서 "지역 본사제 추진 등 균형발전을 위한 대대적인 정책적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