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비·원자재·유가·환율…‘사중고’에 허덕이는 지역 기업

입력 2022-03-20 16:16:07 수정 2022-03-20 17:42:42

대구상의, 지역 336개사 대상 긴급 조사 결과 발표
"기업 손실 최소화 위한 중장기 대책 마련해야"

대구상공회의소 전경. 매일신문DB
대구상공회의소 전경. 매일신문DB

대다수의 지역 기업이 물류비·원자잿값·유가·환율로 인한 '사중고'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상공회의소는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등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한 지역 기업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지역 336개사를 대상으로 긴급 실시한 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우선 지역 기업의 10곳 중 8곳(82.7%)은 지난해와 물류비가 증가했다고 응답했다. 물류비 증가의 여파로는 '영업이익 감소'(52.9%)와 '가격경쟁력 저하'(33.7%)가 가장 많이 꼽혔다.

지난해에 비해 주로 사용하는 원자재 가격이 인상했다고 응답한 곳은 92.3%나 됐다. 반면 원자잿값으로 인한 가격 상승분을 제품 가격에 전부 반영한 기업은 6.8%에 그쳤다.

특히 기업들은 가격경쟁력 저하(36.0%)와 거래처와의 지속 관계 우려(28.2%)로 인해 제품 가격에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채산성 악화를 감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가 상승에 대해서는 지역 기업 10곳 중 9곳(88.2%)이 영향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최근 환율이 22개월 만에 1천240원을 돌파한 가운데 지역 기업의 64.5%가 환율 변동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지역 기업 대부분이 사중고에 타격을 받고 있지만, 비용 증가분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기 어려운 상황이라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기업들은 물류비, 원자재 가격, 유가, 환율 변동으로 인해 기업의 생산 원가, 납품비용은 증가했지만 비용 증가분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대구상의 관계자는 "원자재의 경우 가격이 장기적으로 증가할 경우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며 "경쟁력이 낮은 기업들이 채산성 악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정부는 세제 절감 혜택, 각종 부담 완화 등 기업 손실 최소화를 위한 중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