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이 근 31년 만에 가장 높은 물가 상승률로 압박을 받고 있다.
7일 OECD에 따르면 OECD 38개 회원국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2%를 기록했다. 이는 한 달 전인 12월의 6.6%보다 0.6%포인트 오른 수치로, 1991년 2월 이후 근 3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주요 20개국(G20)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6.5%, 주요 7개국(G7)의 물가 상승률은 5.8%를 기록했다.
고물가로 가장 고전하는 터키의 경우 지난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무려 48.7%에 달했다. 만성적인 고물가에 시달려온 데다, 올해 1월 최저임금을 50% 인상하고 가스·전기·도로 통행료 등을 줄줄이 올린 것이 결정적이었다.
미국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7.5%에 달했다. 자동차와 에너지, 식료품 가격이 전방위로 상승하면서 1982년 2월 이후 40년 만에 가장 높은 물가 상승률을 기록했다.
영국과 독일의 1월 소비자물가 역시 각각 4.9%를 기록했다.
전 세계의 소비자물가가 이처럼 몸살을 앓는 가장 큰 원인은 국제유가와 천연가스 등 에너지 가격 상승을 꼽을 수 있다. OECD 38개 회원국의 1월 에너지 가격은 지난해 동월 대비 26.2% 급상승했다.
한국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6%로 집계됐다. OECD 평균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으로 38개 회원국 중 29위다.
3월부터는 우크라이나 사태 여파로 전 세계가 겪는 고물가 현상이 더욱 심화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2월 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치솟은 국제유가와 천연가스, 곡물 가격이 시차를 두고 생활물가에 직접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