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 방향 바뀌기 전 잡아야…'역대급' 울진삼척 산불 나흘째 헬기·인력 총동원

입력 2022-03-07 08:13:56 수정 2022-03-07 09:04:15

울진·삼척 산불 진화에 헬기 53대 집중 투입

경북 울진군 북면 산불 발생 사흘째인 6일 수시로 바뀌는 풍향과 강풍 및 연무로 산불이 울진군 금강송면 소광리 금강소나무숲 인근까지 번지고 있다. 연합뉴스
경북 울진군 북면 산불 발생 사흘째인 6일 수시로 바뀌는 풍향과 강풍 및 연무로 산불이 울진군 금강송면 소광리 금강소나무숲 인근까지 번지고 있다. 연합뉴스

울진·삼척 산불 나흘째인 7일 산림 당국이 바람이 잦아드는 이날 오전을 목표로 헬기 등 역량을 총동원해 주불 진화에 나섰다. 현재 강풍주의보가 해제된 만큼 진화 자원을 산불이 계속 확산하는 소광리 금강송 군락지 주변 등에 집중적으로 배치했다.

이날 일출 시각인 오전 6시 46분부터 헬기 53대와 인력 5천여 명을 동원해 주불 진화에 나섰다.

또 피해 민가를 직접 순찰하며 남은 불씨를 제거하고 있다.

이날 일출 이후 화재 현장에는 남서풍 또는 남풍이 약하게 불다가 오전 10∼12시께 풍속이 3∼4㎧로 올라갈 것으로 예측됐다. 해안 쪽에는 남동풍이 5㎧까지 불 것으로 보인다.

기상 여건은 동풍이 부는 화요일 오후(8일)부터 악화할 것으로 보여, 산림 당국은 그전까지 주요 상황을 마무리해야 한다고 내다봤다.

울진군 북면에서 지난 4일 발생한 산불은 같은 날 강원도 삼척으로 확산한 데 이어 5일 남쪽인 울진군 죽변면과 울진읍 방향으로 번졌다가 6일 오후 북동풍을 타고 금강송면 소광리로 향했다.

소광리에는 수령이 500년 대왕 소나무 등 금강송 군락지가 자리하고 있어 핵심 보호 구역으로 꼽힌다.

산림 당국은 밤새 불길이 금강송 군락지와 대흥리 민가로 확산하지 않도록 방화선을 구축하는 등 야간 진화에 집중했다.

야간 진화 인력 1천874명(소방대 829명, 공무원 222명, 산불재난 특수진화대 23명 등), 장비 767점(소방차 252대, 진화차 13대, 지휘차 2대, 기타 등짐펌프 등 500점)이 동원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