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인분의 배달음식을 먹을 때 평균 18개의 플라스틱 용기를 쓴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4일 한국소비자원이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요기요 등 3개 음식 배달앱으로 주문한 보쌈과 짜장면 세트, 돈가스 등 배달 음식 10종(총 30개)의 플라스틱 용기를 조사한 결과, 메뉴 1개(2인분)당 평균 18.3개, 무게로는 147.7g 상당의 플라스틱 용기가 사용됐다.
플라스틱 용기는 메인 음식 용기와 곁들임 음식 용기, 뚜껑, 비닐랩, 소스 비닐 포장재, 비닐 포장 봉투, 포장 리본, 고무줄, 실링 칼(포장을 뜯을 때 쓰는 작은 플라스틱 칼) 등을 포함한 것이다.
소비자원은 2021년 5월 오픈서베이가 내놓은 '배달서비스 트렌드 리포트 2021' 자료를 토대로 "일주일에 평균 2.8회 배달 음식을 주문한다고 가정하면 배달 음식 이용자 1인당 연간 평균 1천341.6개, 무게로는 10.8kg의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는 국민 1인당 플라스틱 배출량 88㎏(미국 국립과학공학의학원 보고서 기준)의 12.2% 정도에 달하는 양이다.
조사 대상 플라스틱 배달용기 중 전체 중량의 45.5%만 재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폴리스티렌(PS), 페트(PET) 시트류, 폴리스티렌페이퍼(PSP) 등 재질과 비닐 제거가 안 된 실링 용기, 스티커가 부착된 용기, 소형칼 등은 재활용이 불가능해서다. 다만 소비자원은 "플라스틱 배달용기를 폴리프로필렌(PP)이나 폴리에틸렌(PE), 페트 등 재활용이 가능한 재질로 전환하고 실링 용기는 PP 재질의 뚜껑 형태로, 소형 반찬 용기는 일체형이나 대형으로 표준화하면 실질적인 재활용률을 78.5%까지 높일 수 있다"고 했다.
소비자원은 배달앱 사업자에 '내 그릇 사용' 등 플라스틱 줄이기를 실천하는 소비자와 외식사업자를 적극적으로 지원해 달라고 권고했다. 환경부에는 플라스틱 배달용기 등 재활용되지 않는 재질을 제한하고 용기 표준화 방안 마련을 요청할 계획이다. 소비자에게는 배달 음식을 주문할 때 일회용 수저 안 받기나 불필요한 반찬 제외 등 배달앱 옵션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