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 제조업 순증가률 3년 연속 마이너스…수도권보다 심각

입력 2022-02-10 17:36:59

수도권과 비수도권 제조업 일자리 순증가율. 대한상의 제공
수도권과 비수도권 제조업 일자리 순증가율. 대한상의 제공

최근 10년간 제조업 일자리 순증가율(창출률과 소멸률의 차이)이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비수도권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출률은 사업체 확장이나 창업으로 일자리가 새로 늘어난 비율을, 소멸률은 사업 축소나 폐업에 따라 기존 일자리가 없어진 비율을 말한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는 10일 펴낸 '지역 일자리 현황 및 향후 정책과제 보고서'에서 "제조업의 일자리 순증가율이 2010~2019년 하락 추세를 나타낸 가운데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에서 고용 부진이 심각한 모습을 보였다"고 밝혔다.

비수도권 제조업 순증가율은 2014년(3.8%), 2015년(1.6%) 감소세를 보이다가, 2016∼2018년 3년 연속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비수도권의 고용 창출률은 2014년 19.4%에서 2016년 13.9%로 하락한 뒤 3년 연속 13%대에 머물렀다. 수도권 순증가율은 2015년(2.9%), 2016년(0.7%) 등 줄어들다가, 2019년엔 마이너스(-0.2%)로 전환됐고 같은 해 고용 창출률은 15%대로 떨어졌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제조업 일자리 순증가률이 하락했지만, 비수도권이 그 정도가 더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신생 기업은 일자리 창출의 역할을 하는데 비수도권의 경우 인프라가 수도권보다 상대적으로 열악한 탓에 창업이 잘 이뤄지지 않아 고용이 더 저조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SGI는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용시장 개선과 지역 균형 발전을 이루려면 ▷외국인 직접투자(FDI) 유치 확대와 제조업 리쇼어링(국내 복귀) 정책 강화 등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