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수도권에 사드 필요" vs 李 "경제 망치려 하느냐"
대통령 된 후 정상회담 우선 순위…李 "상황 맞게"-尹·安 "미"-沈 "북"
3일 열린 방송 3사 대선 후보 토론회에서 후보들은 안보와 외교 문제 해결에 대해서도 첨예한 의견차를 드러냈다.
◆안보 해법… 尹 "사드 추가" 李 "핵잠수함"
안보 문제와 관련, 윤석열 후보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추가 배치' 공약이 가장 먼저 화두에 올랐다. 다른 후보들이 맹공을 퍼부으며 난타전이 벌어졌고, 윤 후보가 방어하는 모양새였다.
이 후보가 윤 후보의 '사드 추가 배치' 공약을 문제 삼으며 "정치가 민생을 해쳐서는 안 된다"며 먼저 포문을 열었다.
이 후보는 "정치적 이유로 갈등을 조장하고 혐중정서에 편승해 한중관계를 이간질, 거기서 정치적 이익을 획득하면 안 된다"며 "우리 무역 25%가 중국에 의존하고 협력하는데, 왜 사드를 추가 설치해 경제를 망치려 하느냐"고 지적했다.
그러자 윤 후보는 "사드에 대해 더 아셔야 할 것 같다"고 반박했다. 그는 "북한에서 수도권에 (탄도미사일을) 겨냥하면 고각으로 발사하게 돼 당연히 수도권에도 (사드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빈센트 브룩스 전 주한미군 사령관이 추가 배치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 안보 불안을 조성해 표를 얻으려고 경제를 망친다는 지적이 있다"는 이 후보의 지적에 윤 후보는 "안보가 튼튼해야 경제도 유지되고 우리나라의 국가적 리스크도 줄어든다. 브룩스 전 사령관은 저층방어시스템과 연계해야 효과적이라고 한 것이지, 사드 추가 배치가 필요없다고 한 적은 없다"고 반박했다.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윤 후보의 '선제타격' 언급을 문제 삼고 나섰다. 심 후보는 "선제타격은 경솔한 발언이다. 대통령은 전쟁 자체가 일어나지 않도록 리더십을 발휘해야 하는 자리"라고 지적했다.
그러자 윤 후보는 "전쟁을 하려는 게 아니고, 전쟁 억제를 위한 선제타격이 필요하다는 것"이라며 "지금 민주당 정부에서 만들어둔 국방백서에 선제타격이 언급됐고, 선제타격은 전쟁을 억제하고 평화를 지키려고 하는 것이다. 적극적 의지를 천명하는 것 자체가 전쟁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후보의 경항공모함과 핵잠수함 추진 공약을 두고도 지적이 쏟아졌다. 심상정 정의당 후보가 "코로나19와 기후위기 등 돈 쓸 곳이 많은 시기에 핵추진 잠수함이 꼭 필요하느냐"고 지적하자, 이 후보는 "당장 지금의 문제인 코로나19와 미래 문제인 핵잠수함을 비교하기에 적절치 않다"고 맞받았다.
또 경항모 공약에 대해 "현대전에서 가장 중요한 건 제공권을 장악할 공군 무기인데, 문재인 정부가 모든 예산을 경항모에 몰아줘 차세대전투기 사업이 중단됐다. 바로잡을 생각이 있느냐"고 지적하자 이 후보는 "군사 전문가들이 검토해 판단할 일"이라고 확답을 피했다.
◆대통령 되면 尹 "미국 먼저", 李 "상황 맞춰"
대통령 취임 이후 미·중·일·북 정상 가운데 누구를 먼저 만날 것이냐는 질문에는 이재명 후보가 "누가 먼저냐고 할 필요가 없다"고 했고, 윤석열 후보는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가장 먼저 만나겠다"고 답했다.
또 안철수 후보는 "한미동맹이 가장 중요하다"며 윤 후보와 비슷한 의견을 내놨고, 심상정 후보는 "남북정상회담을 먼저 하겠다"고 답했다.
먼저 이재명 후보는 명확한 답을 피했다. 이 후보는 "우리는 해양세력과 대륙세력이 충돌하는 반도국가이기 때문에 국익 중심, 실용 외교가 중요하다"며 "미리 그걸 정해놓고 미국과 중국, 북한 등 누굴 먼저 만나겠다고 이야기할 필요가 없다. 상황에 맞춰 협의해보고 유용한 시점에 순서를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반면 윤석열 후보와 안철수 후보는 '한미동맹'을 우선시하고 나섰다. 윤 후보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수상, 시진핑 주석, 김정은 위원장 순으로 만나겠다"며 "민주당 집권 기간 친중·친북 외교를 지속해서 한미·한일관계가 무너졌다. 이걸 정상적으로 회복하는 게 우선"이라고 했다.
안철수 후보도 "한미동맹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다. 미국과 먼저 해결책을 찾는 게 첫 번째"라며 "그 다음은 북한을 지원해 버티게 해주는 중국이고, 그 다음이 북한과 일본 순"이라고 밝혔다.
반면 심상정 후보는 "북한이 오판하지 않도록 대화가 절실하다"며 "지난 2018년 싱가포르 합의에 기초한 북미대화가 시급하게 재개돼야 한다. 대통령이 되면 가장 먼저 남북정상회담을 갖고, 이를 바탕으로 한미회담을 갖고 필요하다면 4자 정상회담을 통해 해법을 제시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