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임시 주총서 지주사 포스코홀딩스·철강사업 포스코 분리 '분할계획서 승인의 건' 의결
철강-신사업간 균형성장 가속화 될 터
포항시 등 각계 "포스코홀딩스 본사 포항에 설립해야" 요구
포스코그룹이 소액주주들과 포항시 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주주들의 압도적 지지를 받으며 지주사 체제 전환에 성공했다. 1968년 창립한 포스코는 공기업에서 출발한 뒤 2000년 민영화를 거쳐 이번에 21년 만에 세 번째 구조적 변화에 안착했다.
포스코그룹은 28일 서울 대치동 포스코타워에서 열린 임시 주주총회에서 물적분할을 통해 지주사 포스코홀딩스(존속법인)와 철강사업회사 포스코(신설)로 분리하는 '분할계획서 승인의 건'을 의결했다.
이번 주총에선 의결권이 있는 주식수 기준 75.6%의 주주가 의결권을 행사했고, 출석주주의 89.2%가 지주사 전환에 찬성했다. 지주사 전환은 참석 주주의 3분의 2 이상, 발행주식 총수의 3분의 1 이상이 찬성해야 통과한다. 분할기일은 오는 3월 1일이고, 등기를 거치면 다음 날부터 본격적인 지주사체제가 시작된다.
3월 2일부터는 지주사 포스코홀딩스가 그룹 지배구조의 최상단에 있고, 포스코와 포스코케미칼, 포스코에너지,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건설 등 자회사와 앞으로 설립될 신규법인들은 그 아래에 놓이게 된다. 한마디로 각 자회사의 성장가치가 포스코홀딩스의 주주가치로 연결되는 것이다.
최정우 회장은 이날 주주 메시지를 통해 "경영구조를 지주회사체제로 전환해 철강과 신사업간의 균형성장을 가속화하고 사업 정체성 또한 친환경·미래소재 기업이라는 인식이 확산하면 회사의 성장 노력이 기업가치에 제대로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날 주총장 앞에서는 전날 밤과 새벽부터 올라온 포항지역 시민단체들과 포항시의회, 경북도의회, 전국금속노조 포스코지회 등 각계 관계자 250명이 지주사 전환을 반대하는 집회를 벌였으나 주총 결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한대정 전국금속노조 포스코지회 수석부지회장은 "최정우 회장은 장기집권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동시에 앞으로 새롭게 생기는 법인에 앉힐 임원들의 자리도 더욱 확보할 수 있게 돼 운신의 폭이 넓어졌다. 또 재해중대법도 피할 수 있는 길이 생기게 돼 이래저래 지주사 전환이 회장 입장에서는 행복한 일이 됐다"고 비판했다.
김익태 포항참여연대 위원장은 "환경오염 등 포항 시민들의 희생으로 성장한 포스코가 지역과 소통 한 번 없이 본사 기능을 서울로 옮겨버렸다. 포스코의 발빠른 지주사 전환 움직임과 이강덕 포항시장의 뒷북행정이 맞물리면서 이런 결과가 나온 것 같다"며 "포스코홀딩스와 미래기술연구원이라도 포항에 세워 시민들의 분노와 허탈감을 달래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