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제재 받을라…수출기업들 '조마조마'

입력 2022-01-25 16:53:48 수정 2022-01-26 07:08:20

무역協 '러 침공시 영향' 분석
대구 대러시아 수출 전체 8위 규모에 해당
지역 수출업체 촉각 곤두…달러화 결제 시스템 배제 가장 우려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에서 군 조교가 정부 지원을 받는 민방위 부대인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에서 군 조교가 정부 지원을 받는 민방위 부대인 '국토방위대' 대원들을 교육하고 있다. 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을 두고 미국, 유럽 등 서방 국가와 러시아 간의 대립이 격화되는 가운데 대구경북의 수입‧수출이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역 업체들도 숨을 죽인 채 앞으로의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러시아가 침공을 감행한다면 미국의 동맹국인 한국도 국제사회의 대(對)러시아 경제 제재에 동참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러시아를 대상으로 하는 모든 수출입 활동에 급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것이다.

25일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가 발표한 '대러시아 경제제재 단행시 대구경북 수출입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러시아는 대구경북지역에서 영향력 있는 수출국 중 하나다.

지난해 기준 대구의 대러시아 수출액은 약 1억6천100만달러로, 전체 수출국 중 8위 규모를 차지하고 있다. 전체 수출 규모 대비 약 2%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주요 수출품은 자동차부품(4천579만달러), 의료용기기(1천159만달러)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은 러시아에 승용차(6억685만달러), 자동차부품(2천833만달러)을 주로 수출하고 있으며 지난해 수출 규모는 7억9천300만달러를 기록했다. 전체 수출액의 1.8%에 해당하는 규모다.

보고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시 예상되는 서방 국가의 경제 제재로 ▷달러화 결제 시스템 배제 ▷특정 인물·기관·거래 대상 경제제재 ▷특정품목에 대한 수출통제 등을 꼽았다.

지역의 수출업체도 긴장감 속에서 이번 사태를 지켜보는 중이다.

전체 수출액의 약 30%가량이 러시아에서 발생하는 대구의 한 자동차부품업체 관계자는 "만약 전쟁이 일어난다면 현지시장에 어떤 식으로든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특히 러시아가 달러화 결제 시스템에서 분리된다면 무역이 사실상 중단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원자재 가격 급등 역시 큰 걱정거리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구경북은 주요 수출품 생산에 필요한 유·무연탄, 선철, 백금 등 원·부자재의 대부분을 러시아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백금의 경우 러시아산 의존도가 100%에 달했다.

김인근 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 팀장은 "정부 및 관계기관은 원자재 수급동향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추고, 무역업계는 중요 원자재 수입선 다변화를 통해 러시아발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