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대형공공건설사업에 지역업체 참여 확대 유도한다

입력 2022-01-22 07:30:00

설명회 열고 100억 이상 대형공공건설공사 발주계획 현황 공유
지역제한 입찰, 지역업체 하도급률 제고 조치 시행 강화 등 주문
업계는 대형공공건설공사의 공구 분할, 자재가 인상분 반영 건의

대구시가 21일 시청 별관 대회의실에서 발주부서장들과 지역 업계 관계자들이 모인 가운데
대구시가 21일 시청 별관 대회의실에서 발주부서장들과 지역 업계 관계자들이 모인 가운데 '2022년도 대형공공건설공사 발주계획 설명회'를 열었다. 대구시청 제공

대구시가 대규모 공공건설사업에 지역업체가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지역제한 입찰 등 다양한 방안을 추진한다.

시는 21일 시청 별관 대회의실에서 '2022년도 대형공공건설공사 발주계획 설명회'를 진행했다. 지역 내 공사비 100억원 이상 대형공공건설공사 발주계획 공유 등 지역 건설업체의 수주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마련한 자리다.

이날 설명회에는 시를 비롯해 구·군 공사·공단, 교육청 등이 추진 중인 대형공공건설공사의 발주부서장들과 지역 건설협회, 전문건설협회, 기계설비건설협회 관계자들이 모였다. 이들은 예정 공사비 100억원 이상인 지역 내 대형공공건설공사 발주계획 현황을 공유했다.

올해 대구 공공기관이 발주 예정인 100억원 이상 대형공공건설공사는 '조야~동명 광역도로' 건설, 대구대공원 조성 공사 등 모두 28개 사업. 이 가운데 500억원 이상인 건설공사는 5개 사업이다.

지역에 민간 건설 현장이 많지만 대부분 외지 시공사가 주도하고 있어 지역업체의 참여를 확대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 시의 판단. 이에 따라 시는 공공건설공사에 대해 ▷지역제한 입찰 및 지역의무 공동도급 우선적 시행 ▷공구분할 검토 등 지역업체 보호방안 협의의무 이행 ▷지역업체 하도급률 제고 조치 시행 강화 등 시책에 발주부서들이 적극적으로 동참해줄 것을 요청했다.

최근 대구 민간건설 부문은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와 더불어 건설자재 가격 급등, 미분양 증가 등으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상태. 건설협회 등 업계 측은 지역에서 발주하는 1천억원 이상 대형공공건설공사의 공구를 분할, 지역 건설업체가 최대한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자재가격 인상분을 공사비에 적정하게 반영해달라고 건의했다.

권오환 시 도시재창조국장은 "협회의 건의 내용 등을 지역 대형공공건설공사를 추진할 때 법 테두리 내에서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이번 대형공공건설공사 발주계획 설명회가 대구시를 비롯한 공공기관과 지역 건설업계가 소통하고 이해하는 계기가 돼 지역업체의 수주 확대로 이어지고,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