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취업자수 대비 공공부문 일자리 처음으로 10% 넘어
취업자 10명 가운데 1명은 정부·공기업 등 공공부문에서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취업자 수 대비 공공부문 일자리 비율이 처음으로 10%를 넘었다는 것인데, 공공부문 일자리는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만큼 민간 일자리가 늘어나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2020 공공부문 일자리 통계'에 따르면 2020년 공공부문 일자리는 276만6천 개로 전년보다 16만4천 개(6.3%) 증가했다. 공공부문 일자리 증가폭은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6년 이래 가장 크다. 일반정부 일자리는 15만5천 개였고 공기업 일자리는 9천개 로 각각 전년 보다 7.0%, 2.3% 증가했다.
공공부문 일자리에 취업한 연령대는 특히 노년층에서 증가폭이 컸다. 전 연령층에서 일제히 늘었지만 60세 이상 공공부문 일자리는 1년 전보다 4만6천 개 늘어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다. 50대 공공부문 일자리도 4만1천 개 늘었다. 50∼60대에서만 공공부문 일자리가 8만7천 개 늘어난 것으로, 지난해 증가한 공공부문 일자리(16만4천 개) 가운데 절반 이상은 장·노년층 일자리였다.
공공부문 근로자의 근속기간은 3년 미만(30.6%)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20년 이상(21.2%), 10∼20년 미만(21.0%), 5∼10년 미만(15.8%) 등의 순이었다. 전체 일자리 중 20년 이상 근속자 비중은 5.1%였다.
우리나라 정부 기관 일자리 212만7천 개 중 공무원 일자리는 139만4천 개로 비공무원(73만3천 개)의 1.9배 수준이었다. 공무원 일자리는 최근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로, 2020년에도 전년 대비 3만5천 개(2.6%) 늘면서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비공무원 일자리는 9만5천 개(15.0%) 증가했다. 공무원의 경우 같은 사람이 일자리를 점유한 지속 일자리 비중이 95.5%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근속기간 10년 이상인 사람이 전체의 60.2%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