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경상감영 선화당,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지정

입력 2021-12-26 15:25:13 수정 2021-12-26 19:24:50

징청각과 함께 400여년간 원형 보존…역사적 가치 높아

대구 경상감영 선화당. 대구 중구청 제공
대구 경상감영 선화당. 대구 중구청 제공

대구 경상감영 선화당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은 지난 23일 대구 경상감영 선화당 등 전국의 관아(官衙) 건축물 8곳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했다.

대구 경상감영 선화당은 조선시대 지방관아 중 최상위 관직자였던 종2품 관찰사가 파견된 감영 중 경상도 감영의 정당(正堂)이다. 강우 측정 기구인 측우대, 깃대를 꽂았던 깃대꽂이 등이 남아 있어 감영의 공간 구성과 운영시설을 살필 수 있는 건축물이다.

특히 선화당은 인근의 징청각과 함께 400여 년간 전체적으로 원형을 잘 유지해 조선시대 감영을 이해하는 데 역사적 가치가 높은 자료로 보존 가치가 높다.

올해 상반기 중구청은 대구시에 선화당 보물 지정 신청을 했다. 이에 대구시는 심의과정을 거쳐 신청을 가결, 문화재청으로 보물 지정 신청을 진행했고 지난달 1일부터 30일간 지정예고기간을 거쳐 보물 지정 공고가 났다.

선화당 보물 승격에 따라 추후 국가지정문화재 관리와 예산 지원이 확대될 전망이다.

한편 중구청이 대구시 유형문화재로 신청한 '대구 보현사 목조여래좌상'도 지난달 1일부터 30일간 지정예고를 끝내고 대구시 지정고시를 앞두고 있다.

조선후기 대표 조각승인 현진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보현사 목조여래좌상은 조선후기 불교조각사 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류규하 중구청장은 "대구 경상감영 선화당의 보물지정과 대구 보현사 목조여래좌상의 시 유형문화재 지정으로 중구의 문화유산을 꾸준히 발굴하고 널리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