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시민 70.3% 동의…대구시 지원·보완책 제시 땐 반대시민 4.9%도 마음 돌려
이달 말 정부 참여 협약 체결…연내 구미시에 100억원 투입
"정치 희생양" vs"정책 현실화"…시의원 사이서도 의견 엇갈려
대구시와의 해평취수장 공동이용 문제에 대해 구미 시민들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해평취수장 공동이용 문제가 진척이 없는 상황에서 내년 대통령 선거와 지방선거 분위기에 휩쓸리면 해결은 더욱 어려워진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환경부는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 연구용역 결과를 내놓고도 이 문제와 관련, 진척을 보지 못했다. 그러다가 지난 7월 14일 구미코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 구미지역 합동설명회에서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에 따른 해평취수장 상수원보호구역 확대는 절대 없다', 'KTX 구미역 신설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등을 발표하며 다소간의 물꼬를 텄다.
◆구미 시민 70.3% 해평취수장 공동이용 동의
구미 시민들도 대구시와의 해평취수장 공동이용에 70.3%가 동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매일신문이 ㈜소셜데이타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구미 시민 10명 중 7명은 상생차원에서, 또 지원·보완책 등을 전제로 대구시와 해평취수장 공동이용에 동의한다고 답했다.
▷상생을 위해 해평취수장 공동이용에 동의가 29.7% ▷수량 부족, 수질 악화 등에 대한 보안책이 있다면 동의하겠다가 18.5% ▷적정비용 부담 및 지역발전 지원이 있다면 동의한다는 답변이 22.1%로 나타났고 ▷26.5%는 조건에 상관없이 대구시와의 공동이용에 반대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공동이용에 반대한 시민 187명을 대상으로 정부 및 대구시의 지원·보완책을 제시하고, 동의 여부를 재질문한 결과에서는 4.9%가 마음을 돌려 동의한다고 답했다.
◆정부, 구미시 적극 나서야
이번 여론조사에서 구미 시민 70% 이상이 해평취수장 대구시와 공동이용에 동의한 만큼 정부 및 구미시도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해평취수장이 있는 해평면 주민들 사이에서는 낙후된 지역을 더 이상 내버려 둬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나온다.
이에 따라 대구시와 해평취수장 공동이용에 따른 인센티브를 계기로 해평면 발전의 밑그림을 그려야 한다는 여론도 높아지고 있다.
정부도 뒷짐만 지고 있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정부가 주도적으로 나서 구미 발전 방안을 내놔야 한다는 것이다.
구미시는 정부와 대구시, 경북도 등이 참여하는 해평취수장 대구시와의 공동이용을 위한 업무협약을 이달 말까지 체결할 예정이다.
해평취수장 공동이용 업무협약을 체결하면 연내에 대구시의 100억원이 구미시로 지원된다.
앞서 해평취수원 상생구미연합회는 ▷해평습지 국가정원 조성 ▷북구미IC~해평IC~서군위IC 개설 ▷해평솔밭공원 조성 ▷구미국가산업단지 5단지 업종완화 ▷(구)국도25선 도로확장 등을 요구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구미시와 협정을 체결하는 즉시 해평취수장 인근 지역 주민들을 위한 100억원 지원 ▷KTX 구미역 신설 ▷농축산물 직거래 장터 등을 통해 구미지역 농가의 소득 향상 지원 ▷구미 5산단 분양 활성화를 위한 입주업종 확대 등 구미지역 경제 발전을 위해 적극 협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에 대해 장세용 구미시장은 해평취수장 공동이용을 두고 "상생과 협치, 실리의 세 가지 원칙이 융합해 10년 이상 끌어온 해평취수장 공동이용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국가 정책과 맞물려 있는 해평취수장 공동이용을 해소하면서 구미는 전국 교통망을 갖추고 10년 이내에 대구와 경북이 거대 메가시티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 시장은 또 "해평취수장을 공동이용하면 올해 대구시에서 100억원을 지원받고, 이후 매년 환경부의 수계상생기금에서 100억원이 내려온다"면서 "시민들의 재산권과 권익보호 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번 여론조사 결과에 대해 장 시장은 "구미 발전을 위해 대승적 차원에서 시민들의 상당수가 해평취수장 공동이용에 동의를 한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에 시민들의 의견을 정확히 전달하고, 정부로부터 받아올 수 있는 것에 주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대하는 시민들 설득이 관건
구미 시민들 가운데 해평취수장의 대구시 공동이용에 대한 반대 의견(여론조사 결과 26.5%)이 여전히 있어 이들을 어떻게 설득하느냐는 넘어야할 '큰 산'이다. 슬기로운 방안이 필요한 대목이다.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는 시민들은 해평취수장을 대구시와 공동으로 사용할 경우 광역취수장으로 확대되기 때문에 규제가 강화될 것이라고 본다.
윤종호 구미시 민·관협의회 위원장은 "광역취수장이 되면 당장은 아니지만 미래에는 상수도보호구역이 확대될 수밖에 없다. 정부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지금 약속한 부분들이 언제든지 쉽게 바뀌어 결국 구미 시민이 피해를 볼 수 있다"며 "취수장 이전은 힘의 논리, 정치의 논리에 따라 구미가 희생양이 될 것"이라고 했다.
해평취수장 공동이용 안을 놓고 구미시의회 의원들 간에도 의견이 엇갈린다.
국민의힘 소속 시의원들은 "취수장 공동이용 시 5산단 뿐만 아니라 1산단에도 영향을 끼칠 것이 뻔 한데 어떻게 찬성을 할 수 있냐"며 "정부는 시민의 목소리를 정확하게 듣지도 않고 현실성 없는 정책 대안을 제시하며 진행하려 한다"고 했다.
반면 구미시의회 더불어민주당 소속 시의원들은 해평취수장 공동이용에 찬성하고 있다.
이들은 "해평취수장 공동이용에 '조건부 수용' 방침을 밝힌 것은 말 그대로 조건부다. 정부가 조건을 검토하게 만들고 검토를 현실로 만들기 위해 함께 뛰겠다"고 밝혔다.

*여론조사 개요
▷의뢰기관=매일신문
▷조사대상=구미에 거주하는 만18세 이상 남여
▷조사방법=설문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전화면접조사(ARS)
▷표본수=707명
▷표본오차=±3.7%포인트(95% 신뢰수준)
▷조사기간=12월 13일~15일
▷조사기관=㈜소셜데이타리서치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