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호주 정상회담 뒤 "어느 나라로부터도 권유 받은 바 없다"
문재인 대통령은 13일 내년 2월로 예정된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외교적 보이콧 문제와 관련해 "한국 정부는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호주 캔버라에서 열린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 정상회담 후 공동기자회견에서 "미국을 비롯한 어느 나라로부터도 (외교적 보이콧에) 참가하라는 권유를 받은 바가 없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중국과 갈등 관계에 있는 호주 방문이 중국에 좋지 않은 신호를 보낼 수 있다'는 질문에 "오늘의 호주 국빈방문은 중국에 대한 한국의 입장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호주는 미국 주도의 오커스(AUKUS, 미국·영국·호주 3자 외교안보협의체)와 파이브아이즈(Five Eyes, 미국·영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 5자 기밀정보 동맹) 회원국이다.
다만 문 대통령은 향후 대(對) 중국 관계 설정에 대한 질문에 "한국은 미국과 동맹을 외교와 안보의 근간으로 삼고 있으나, 경제적 측면에 있어서는 중국과 관계도 매우 중요하다.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그리고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서 중국의 건설적 노력이 요구된다"면서 "한국은 미국과 굳건한 동맹을 기반으로 삼으면서 중국과도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해 나가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문 대통령은 미국이 북한에 첫 대북제재 조치를 가한 상황에서의 한반도 종전선언 추진 구상에 대한 질문에는 구체적 언급을 피한 채 원론적 입장을 되풀이 했다.
문 대통령은 "관련국인 미국과 중국, 그리고 북한이 모두 원론적인, 원칙적인 찬성 입장을 밝혔다"며 "다만 북한이 미국의 대북 적대 정책을 근본적으로 철회하는 것을 선결조건으로 요구하고 있어 아직 대화에 들어가지는 못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남북 간에 북미 간에 조속한 대화가 재개되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며 "정부는 마지막까지 가급적 대화를 통해 접근이 이뤄지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종전선언은 70년 가까이 지속하고 있는 불안정한 정전체제를 종식하고 전쟁을 종식한다는 자체의 중요한 의미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남북·북미 간에 대화를 재개할 수 있는 중요한 대화 모멘텀이 된다"고 했다.
한편, 호주와 중국 관계는 호주 정부가 2018년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를 5G 네트워크 사업에서 배제하고 지난해 코로나19 기원에 대한 국제조사를 처음으로 제안하면서 악화일로를 걸어왔다. 중국은 지난해 11월 호주산 소고기, 와인 등에 최대 200% 관세폭탄을 부과하는 등 경제 보복을 단행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