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범대 나와야 국·영·수 교사 된다…교육부, 중등교원 양성 규모 축소

입력 2021-12-10 14:49:06

현재처럼 교직 이수 통해 주요 과목 교사 되기는 불가능
고교학점제 등으로 인한 선택과목은 교직 이수·교육대학원 중심 양성

대구의 한 고등학교에서 교사가 학생들과 온라인 원격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구의 한 고등학교에서 교사가 학생들과 온라인 원격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교육부가 중등 교원 양성 규모를 축소하기로 했다. 사범대를 졸업해야만 주요 과목 교사가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점차 심각해지는 교원 양성과 임용 규모간 불균형을 줄이기 위한 방안이다.

10일 교육부는 '초·중등 교원양성체제 발전방안'을 발표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사범대 등을 졸업하거나 교직과정을 이수해 중등 교원 자격증을 취득한 인원은 1만9천336명으로 집계됐다. 반면 올해 중등 임용시험 모집인원은 4천410명으로, 중등 교원 자격증 취득자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교육부는 이런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자 매년 일정 규모의 교원 양성이 필요한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체육, 음악, 미술, 정보·컴퓨터, 기술, 가정 등의 과목은 사범대와 사범계 학과(교육과)를 통해서만 가능하도록 했다. 사범대를 나오지 않고 현재와 같이 교직 이수를 통해 공통과목 교사가 되기는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또 고교학점제, 산업구조 변화 등에 따라 수요가 확대되는 선택과목, 전문교과, 신규분야 등은 교과 특성을 고려해, 일반학과 교직 이수 과정과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교원을 양성한다.

교육대학원은 1급 정교사 연수, 석사과정 연계, 생애주기 연수 등 교원 재교육 기능을 강화하고, 교사 전문성 심화를 위한 박사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을 정비한다.

다만 교육부는 구체적인 감축 인원을 밝히지는 않았다. 교육부 관계자는 "6주기(2022∼2025년)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에 기관 특성화 방향과 중등 양성정원 감축 방안을 반영할 방침"이라며 "양성기관 등의 의견수렴을 거쳐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기본계획을 내년 상반기 중에 수립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교육부는 사범대생 등 예비 교원의 교육 실습을 강화하고자 실습 학기제를 도입한다. 기존 4주간(중등 기준)의 교육실습 기간을 한 학기로 늘리는 것이다.

교육부는 예비 교원이 실습 학교에서 교육과정의 편성·지도·평가 등 한 학기 전체 학사 과정에 직접 참여해 봄으로써, 학교·교실·학생에 대한 실제적인 이해를 높이고 교직관을 형성하는 기회를 얻게 될 것으로 기대했다.

교육부는 교육실습 학기제의 안정적 도입을 위해 내년 하반기부터 시범운영을 시작하고, 교원 양성 규모의 적정화가 이루어지는 시점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운영 규모를 확대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또 교육과정의 변화 등에 대응하고자, 1급 정교사 자격연수와 연계해 교사들이 융합 전공(기존 부전공)을 이수하도록 함으로써 복수 교과 지도 등 다(多)교과 역량을 갖추도록 할 계획이다.

이상수 교육부 학교혁신지원실장은 "학교 현장의 변화에 예비 교원들이 잘 준비하는 것이 미래 교육을 준비하는 가장 빠른 길이자 바른 길"이라며 "정부와 시·도교육청에서도 관련 제도와 정책을 정비하겠다"고 말했다.